뽀글이 환경호르몬 걱정 없어?
과자의 보존성을 높여주는 ‘알루미늄박’의 장점
[문화뉴스 노예진 기자] 시중에는 다양한 브랜드의 과자와 라면들이 있다. 맛과 모양, 외부의 포장지는 각각 다르지만 봉지의 내부가 ‘은색’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외부 포장지는 소비자를 유혹하기 위해 화려한 디자인을 그려 넣었지만 내부는 왜 은색으로 통일하였을까?

과자와 라면의 포장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플탈레이트(PET), 알루미늄박 등을 여러 겹 적층 시킨 다층포장재를 사용한다. 다층포장재가 은색을 띠는 이유는 알루미늄 필름이 은색을 나타나기 때문이다. 라면, 과자 이외에도 커피믹스, 즉석 카레 등의 포장재가 대표적이다.
지방류의 유기물이 공기와 만나면 가수분해되거나 산화되어 맛과 색이 변하는 산패가 일어나 품질저하를 일으키게 되는데 다층포장재가 이를 막아준다.
특히, 포장 시리즈 초콜릿과 껌의 비밀에서 소개했듯이 알루미늄박은 수분과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산소 분자보다 구조가 작아서 내용물의 습기를 차단해 눅눅해지는 것을 막고, 햇빛 등 열을 막아 변형을 막아준다. 또한 외부 인쇄물이 내부에 스며드는 것을 막아주기도 한다.
다층포장재 안에 과자와 함께 질소 기체를 넣으면 과자가 부서지지 않게 보호하고 산소 유입을 막아 신선도를 유지한다.

커피믹스 봉지를 스푼으로 사용 NO!
직접 라면 봉지에 라면을 끓이는 것(일명 뽀글이)은 괜찮지만 커피믹스를 스푼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한다.
식품 접촉면에 사용되는 재질에는 가소제(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는 화학첨가물)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호르몬 걱정은 없다. 하지만 커피믹스 봉지를 젓는 용도로 사용하면 인쇄면이 뜨거운 물에 닿기 때문에 코팅된 필름이 벗겨지면서 인쇄성분이 남는다. 절취선 부근에는 납성분도 있다고 하니 이러한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