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7일 착수보고회 시작으로 11월까지 연구용역 진행
변화하는 문화재 보존관리와 활용 환경에 맞추어 원칙 정립
해외 문화재 보존원칙(국제헌장·이탈리아, 일본, 호주 등)과 비교 연구 병행
[문화뉴스 금별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이 올해 문화재정책 60주년을 계기로 문화재 보존원칙 정립을 위해 7일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오는 11월까지 연구용역을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문화재 보존원칙 정립'은 변화하는 문화재 보존관리와 활용 환경에 맞추어 원칙을 정립하고 그에 따라 더욱 체계적이고 진정성 있는 문화재 보존관리를 이루려는 것이다. 7일 착수보고회 이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연구용역을 진행한다.
과거 문화재 수리, 복원 과정 중에 문화재의 원형과 그 원형의 복원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들이 있어 왔다.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그러한 논란을 해소하고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후 국가의 제도적 틀 속에서 오늘날까지 진행되어 온 우리나라의 문화재 보존 원칙의 전반에 대하여 제도·학술적 측면에서 조사·분석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의 문화재 보존원칙(국제헌장·이탈리아, 일본, 호주 등)과 비교 연구를 병행하여 현재 시점에서 우리나라에 적합한 문화재 보존원칙 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올해 실시하는 연구(용역)를 바탕으로 2022년에는 학회와 협회(고고학, 고건축, 수리 등)와 논의하는 등 다양한 의견 수렴을 거쳐 '문화재 보존원칙 정립'을 완성해 나갈 의지를 표명했다.
- 국립무형유산원 개막공연 '전화위복_轉禍爲福' 진행
- 국립고궁박물관, 26일부터 문화재 무료 훈증소독 신청 접수
- '한국수어교재 수화',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가옥' 등 4건 문화재 등록
- '대한제국 황제의 식탁' 특별전, 31일부터 온라인으로 재회
- 백제로 떠나는 추억여행, 백제 왕릉 사진 공모전 개최
- '2021 세계유산 해석과 설명 이해' 온라인 강연 개최
-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전승 사각지대에 놓인 한국 민속의 뿌리 지킨다
- 궁중병과와 약차로 떠나는 궁궐 미식여행, '경복궁 생과방' 개관
- [길 위의 갤러리] 한국의 근·현대 건축물의 운명은? 현 센터필드 - 구 르네상스 호텔의 재조명
금별 기자
press@mhns.co.kr
기자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