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26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정부조직법 수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첫 정부조직 개편 방향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검찰청을 폐지하고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과 공소청을 신설해 검찰의 수사·기소 기능을 분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연합뉴스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26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정부조직법 수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첫 정부조직 개편 방향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검찰청을 폐지하고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과 공소청을 신설해 검찰의 수사·기소 기능을 분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연합뉴스

(문화뉴스 이기철 기자)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은 29일 검찰청 폐지를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을 두고 충분한 대비 없이 폐지되는 현실에 매우 참담하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라고 술회했다. 지난 26일 검찰청 폐지를 담은 정부조직법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불거진 지휘부 책임론에 나온 발언으로, ‘버스 떠나고 손드는 격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노 대행은 이날 검찰 구성원에게 전달한 3쪽 분량의 내부 서신에서 검찰 구성원들이 느꼈을 당혹감, 허탈감, 억울함과 우려를 떠올리면 여러분들에게 면목이 없고 죄송하기 그지 없다라며 검찰 제도 개편과 관련해 그간 대검찰청에서는 헌법상 명시된 검찰을 법률로 폐지하는 것은 위헌 소지가 있는 점,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신설시 수사기관 난립으로 인한 혼란과 비효율 가중 및 형사사법시스템 구축 비용 과다 등 불필요한 예산 소모의 심각성 등을 강조하며 대응해 왔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검찰은 제헌헌법 제정 시 헌법에 명시된 이래 직접수사와 공소제기 뿐만 아니라 경찰 수사에 대한 사법 통제, 형집행, 피해자 지원, 범죄수익환수, 국제사법공조 등 법질서를 확립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라며 이러한 공익적 역할에 대한 자부심이 검찰을 지탱하는 큰 힘이 되어 그간 구성원들의 헌신과 노력으로 우리 사회의 정의와 인권을 바로 세우고, 범죄로부터 내 이웃과 공동체를 지켜 왔다라고 역설했다.

특히 검찰이 정치적 중립을 의심받는 수사 등으로 인해 국민들로부터 충분한 신뢰를 얻지 못했다는 비판은 겸허히 받아들일지라도 그동안 지키고자 했던 가치와 노력, 가족들도 살뜰히 돌보지 못한 채 밤잠을 설쳐가며 애쓴 날들이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어떠한 변화가 있다고 하더라도 공익의 대표자로서 국민의 권리를 지키고 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검찰 본연의 역할은 변해서도 안 되고, 변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어려운 환경이지만 검찰의 사명을 잊지 말고 검찰 본연의 역할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국민의 믿음을 얻도록 하자고 촉구했다.

노 대행은 검찰 내부 의견을 적극 개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대검에서는 향후 논의 과정에서도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고 국민들께서 불편을 느끼지 않는 방향으로 형사사법절차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출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중수청 신설로 인한 수사관들의 처우 변화 우려에 대해서는 국무총리실 산하에 구성되는 범정부 검찰개혁추진단에서 논의 예정이라며 일선 의견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남부지법에서는 이수진 의원, 기동민 전 의원, 김영춘 전 해양수산부 장관, 김갑수 전 열린우리당 대변인에 대한 무죄 판결이 나왔다라며 이 판결은 검찰의 무소불위 권력이 왜 사라져야 하는지, 수사와 기소가 왜 반드시 분리돼야 하는지를 보여준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문화뉴스 / 이기철 기자 leekic2@gmail.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