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P-1 계열 치료제, 담석증·저혈압 등 부작용 청소년에서 증가
식약처·교육부 등 협력…학교·가정·청소년시설 맞춤형 정보 제공

‘청소년 비만치료제 부작용 더 많아’…정부 “오남용 막고 안전사용 총력”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청소년 비만치료제 부작용 더 많아’…정부 “오남용 막고 안전사용 총력”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뉴스 이혜주 기자) GLP-1 계열 비만치료제가 청소년에게도 사용되면서 성인보다 부작용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에 따르면 12세 이상 청소년이 GLP-1 계열 비만치료제를 사용할 경우, 담석증, 담낭염, 저혈압 등 성인보다 더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됐으며, 구토, 설사, 복통 등 위장관 관련 이상사례도 허가된 범위 내에서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치료제는 의사가 비만으로 진단한 12세 이상 청소년 가운데 성인 기준 BMI 30kg/㎡ 이상이면서 체중이 60kg을 넘는 경우에만 칼로리 제한 식이요법과 신체활동 병행 조건 하에 처방할 수 있다.

아직 성장기인 청소년은 영양 섭취 제한이나 급격한 체중감소로 인해 성장 장애, 탈수, 급성 췌장염 등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국 보건소와 의료기관에 투여 대상, 복용법, 주의사항, 부작용 보고 방법 등을 포함한 안내자료를 배포하고 관리 대책을 마련했다. 교육부와 연계해 가정으로 안내문을 배포하고, ‘함께학교’, ‘학부모On누리’ 누리집에 카드뉴스를 게시해 정확한 정보 전달에 나섰다.

아울러 여성가족부와 협력해 ‘청소년1388’, ‘e청소년’, 다양한 청소년시설 및 누리집을 활용한 맞춤형 홍보도 진행되며, 무분별한 치료제 사용을 막기 위한 안내가 강화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해당 치료제가 출시된 이후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며 이상 사례 보고 건수도 함께 늘어난 가운데, 식약처는 이를 이상사례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하고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지속적인 점검과 관리를 실시 중이다.

정상적으로 복용했음에도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를 통해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정부는 청소년이 비만치료제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허가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환경 조성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뉴스 / 이혜주 기자 press@mhns.co.kr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