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금융지주, 전략산업 지원 위한 역량 통합…사무국 신설로 속도
투자 집행 체계 강화…이억원 “생산적 금융 전환 및 역할 확대 필요”

‘금융권, 150조 집결’…국민성장펀드 사무국 출범 임박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금융권, 150조 집결’…국민성장펀드 사무국 출범 임박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뉴스 주진노 기자) 150조 원 규모에 달하는 국민성장펀드가 내달 10일 공식 출범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와 금융권이 펀드 조성 및 전략적 투자 집행을 위한 협업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직접 한국산업은행 별관 현장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사무국 현판식과 관련 금융기관 간 업무협약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는 한국산업은행과 5대 금융지주가 지난 9월 결정한 150조 규모 국민성장펀드의 성공 조성을 목표로, 프로젝트 단위 자금 지원과 전문인력 파견, 첨단전략산업 정보 교류 등 실질 협력 방안에 합의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금융권이 정책 방향에 화답하는 움직임이 있지만, 시장의 평가는 아직 엄격하다”며 “여전히 금융권이 이자수익에 집중하고 산업 이해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자금 배분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려면 정부, 금융권, 산업계, 지역, 국민 모두가 역량을 집결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하며 “국민성장펀드가 국가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중심 플랫폼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 위원장은 “오늘 주요 금융지주 및 산업은행 간 인력 파견, 정보 공유를 적극 추진하게 됐다”며 “앞으로 금융권 전반, 산업생태계, 중앙·지방정부와의 소통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민성장펀드 운영 방식에 대해서는 “지원 방식과 협업 구조 모두 과거 산업금융 관행을 넘어서는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며, 금융권에 생산적 금융의 지속적 동참을 요청했다. 정책당국도 출자부담 경감책과 투자 실패 시 면책 지원 등 투자의사 결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박상진 한국산업은행 회장은 “국민성장펀드는 150조 원 규모의 민관합동 대형 프로젝트로, 금융권이 미래전략산업 지원의 실행축으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책금융과 시장의 전문성 결합이 생산적 금융 생태계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사무국 신설을 계기로 공정하고 전문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조성하면서, 기금운용심의회 추천 등 제도적 절차, 현장 의견을 반영한 소통 채널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성장펀드는 내달 10일 한국산업은행법 개정에 맞춰 신속한 투자 집행에 나설 전망이며, 사무국은 개별 프로젝트 접수 및 검토, 공동 금융지원, 자금집행 및 사후관리를 전담한다.

국민성장펀드 사무국에는 산업은행 출신 핵심 인력과 민간금융, 산업계 경력자를 적극적으로 배치해, 민간과의 인력 교류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산업은행은 이 펀드 사무국과 혁신성장금융부문 등 기존 관련 조직을 국가산업성장지원그룹으로 통합, 전략적 자금 지원을 위한 기관 역량 집중에도 힘을 싣는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연합뉴스

문화뉴스 / 주진노 기자 eveleva@naver.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