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연출 남긍호, 광주예술의전당서 현장 중심 프로그램 직접 진행
신체마임 집중 체험-무대 뒷이야기 공개…예술인과 관객 위한 소통 한마당

‘프랑크 앤 슈타인’…관람 전후 더 깊어진 경험, ‘움직임 워크숍’·‘관객과의 대화’로 확장된다 / 사진=국립극단, 광주예술의전당
‘프랑크 앤 슈타인’…관람 전후 더 깊어진 경험, ‘움직임 워크숍’·‘관객과의 대화’로 확장된다 / 사진=국립극단, 광주예술의전당

(문화뉴스 주민혜 기자) 국립극단과 광주예술의전당이 공동 제작한 넌버벌 신체극 ‘프랑크 앤 슈타인’이 12월 4일부터 7일까지 광주예술의전당 소극장에서 무대에 오른다.

공연 기간 중인 12월 6일에는 관객과 예술인을 위한 참여형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오전 시간에는 광주 지역의 만 20세 이상 전문예술인과 예술전공자를 대상으로 ‘움직임 워크숍’이 대연습실에서 개최된다. 연출을 맡은 남긍호가 직접 강사로 나서 신체마임(Physical Mime)에 대한 핵심 이론과 실기, 그리고 무대에서 신체 균형과 표현력 발달을 돕는 카운터 웨이트 등 구체적인 움직임 원리를 안내한다.

참가자는 다양한 마임 기술과 구조화된 몸의 표현방식, 그리고 무대에서의 조형적 움직임 연습을 통해 신체 예술에 대한 이해와 역량을 확장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러한 경험은 본 공연의 신체적 미학과 표현 방식에 대한 깊은 체득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워크숍은 지역 예술인 교류와 함께 창작 환경에도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프랑크 앤 슈타인’…관람 전후 더 깊어진 경험, ‘움직임 워크숍’·‘관객과의 대화’로 확장된다 / 사진=국립극단, 광주예술의전당
‘프랑크 앤 슈타인’…관람 전후 더 깊어진 경험, ‘움직임 워크숍’·‘관객과의 대화’로 확장된다 / 사진=국립극단, 광주예술의전당

오후 2시 공연 종료 후에는 광주예술의전당 소극장에서 ‘관객과의 대화’가 진행된다. 이 시간에는 남긍호 연출이 직접 무대에 올라 작품 제작 배경, 신체 중심 연출법, 장면이 완성되는 과정 등 창작 뒷이야기를 풀어놓을 예정이다. 관객들은 공연에 대한 자유로운 질문과 의견을 나누며, 각자의 시각으로 작품 해석을 넓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프랑크 앤 슈타인’은 메리 셸리 원작 ‘프랑켄슈타인’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신체극으로, 중앙의 벽을 두고 박사와 피조물의 길을 쌍방향 무대로 펼치는 독특한 공연 구조가 특징이다. 1막과 2막 사이 관객이 직접 좌석 위치를 옮기며 관람하는 구성을 도입해 두 인물의 감정을 더욱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대사 없이 마임, 무용, 아크로바틱 등 다양한 신체 언어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며 ‘고립’, ‘책임’, ‘관계’란 고전의 주제를 유머와 상상력으로 새롭게 선보인다.

이번 움직임 워크숍과 관객과의 대화는 공연 참여자뿐 아니라 관람객 모두에게 ‘프랑크 앤 슈타인’의 예술성과 소통의 깊이를 확장하는 특별한 경험이 될 전망이다.

사진=국립극단, 광주예술의전당

문화뉴스 / 주민혜 기자 press@mhns.co.kr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