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기술 통제 목적으로 자국 IT 기업 관리-감독
미얀마 군부, 시위대 탄압 목적으로 중국 發 영상인식 장비 수입

[문화뉴스 김종민 기자] 자국의 인터넷에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 행정 당국이 딥페이크 기술에 대해서도 규제에 나섰다.

한편, 딥페이크와 관련 있는 중국 발(發) 안면인식 기술이 미얀마 쿠데타에 저항한 시위대를 탄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는 내용이 함께 전해졌다.

양국 정부가 기술 개발과 규제를 적절히 배합해 자국 시민을 통제하는 셈이다.

지난 19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인터넷 감독기관인 중국 국가사이버정보판공실(CAC)과 공안국(PSB)은 최근 중국의 인터넷 관련 기술 기업 11곳과 회의를 열고 딥페이크 기술에 대한 규제를 논의했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의 얼굴을 기존에 있던 인물의 얼굴로 합성한 편집물이다.

사진=셔터스톡 캡처
사진=셔터스톡 캡처

회의에는 바이트댄스(ByteDance-字節跳動), 알리바바(阿里巴巴), 텐센트(騰迅-텅쉰), 샤오미(小米), 콰이서우(快手) 등 중국의 주요 IT 기업들이 대부분 소집됐다.

CAC와 공안국은 회의에서 자국 기업들이 딥페이크 기술을 사용하는지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기술기업들에 위반 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자체 점검을 할 것을 지시했다. 또 이들은 오디오 기반 소셜미디어 앱에도 위반 행위가 있는지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얀마에서는 쿠데타를 단행한 군부가 시위대를 식별하기 위해 중국 출처의 인공지능 영상인식 기술을 사용한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서 시위에 나선 윈 페 먀잉은 18일 로이터통신에 "군경이 시위대를 쫓는데 이런 기술을 사용한다고 생각한다"며 이에 대해 "디지털 독재"라고 강도 높은 비판을 전했다.

미얀마 시위, 사진=찰스 마웅 보 추기경 트위터 캡처
미얀마 시위, 사진=찰스 마웅 보 추기경 트위터 캡처

미얀마에는 현행법상 개인 정보 보관-사용 등에 대한 적당한 기준이 없는 상황이다. 

군부가 시위대 얼굴이나 차량 번호판 등을 확인하는 데 CCTV 영상을 동원하면서, 여기에 사용되는 장비의 상당수가 중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밝혀졌다. 현지 언론 '미얀마나우'는 장비가 대부분 중국 화웨이의 제품이라고 언급했다.

이같은 장비 보급은 중국의 안면인식 기술 발전-규제와 관련이 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중국 정부 당국은 행정적 규제와 보호 아래 안면 인식 기술 발전과 보급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것으로 진단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을 정점으로 하는 중국 지도부가 14억이 넘는 중국 국민을 '관리'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됐다고 지적한다.

----

중국 정부 딥페이크-안면인식 기술 통제...시위대 탄압에 활용도

딥페이크 기술 통제 목적으로 자국 IT 기업 관리-감독
미얀마 군부, 시위대 탄압 목적으로 중국發 영상인식 장비 수입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