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국제무용콩쿠르, 동아무용 콩쿠르 등 화려한 수상 경력
다양한 무대에서 안무가로도 활발한 활동
섬세한 이미지나 춤동작, 장현수 안무가 눈에 들어
목멱산59, 관객 마음에 따뜻함이 잔잔하게 채워지길…

[문화뉴스 조희신 기자] 장현수 안무가의 정수를 담은 ‘목멱산59’가 오는 5월29일에서 30일까지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공연된다. 남산의 사계절을 표현하며 매년 이어오는 ‘목멱산59’ 공연은 산업의 발달과 정보화로 인해 우리네 바탕을 이루던 농업과 실제 생활이 너무 가볍게 여겨짐을 경계하고, 인문학적 관점에 ‘농가월령가’에 순수 예술의 혼을 담아 춤으로 표현했다.
남산의 사계절을 배경으로 여러 무용수가 ‘목멱산59’ 공연을 표현하고 있는 가운데, 4막 가을 1장의 칠월 칠석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인 견우와 직녀의 만남을 표현했다.
견우와 직녀에서 직녀 역할을 맡게 된 이승아 씨는 프리랜서 무용수로, 세종대학교를 졸업하고 2017년 서울 국제무용콩쿠르 여자 창작부분 2위, 동아무용 콩쿠르 여자 창작부분 동상 등 각종 콩쿠르에서 수상 경력을 쌓으며, ‘confined’,‘70x70=?’ 등 안무가로도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목멱산59’ 공연에 임하고 있는 무용수 이승아 씨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무용수 이승아 인터뷰

Q ‘목멱산59’ 공연에서 4막 가을 1장의 ‘직녀’ 역할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견우와 직녀가 1년에 한 번 오작교에서 만나는 날인 칠월 칠석에 대한 설화를 어릴 때부터 익히 들어서 알고 있을 거로 생각합니다. ‘목멱산59’ 공연은 이런 설화를 바탕으로 현시대에 비춰 재구성된 직녀의 이야기입니다.
저는 공연을 준비할 때마다 그 인물이 되기 위해 자료조사를 많이 하는데, 견우와 직녀 설화를 조사하다 보니 옛날의 직녀를 흉내 내는 것보다는 만약 내가 현시대의 직녀였다면 어떻게 사랑을 했고, 어떤 간절함을 느꼈을지를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그러다 보니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를 가져가되 현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직녀를 표현해보고 싶어 장현수 안무가와 함께 의논을 통해 탄생하게 됐습니다. 이렇게 재해석한 직녀를 관객들이 좋게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Q 자신이 ‘직녀’ 역할로 들어가게 된 이유는 무엇인 거 같나요?
국립무용단에서 2년 동안 인턴 생활하면서 장현수 안무가를 알게 되고 함께 작품 활동도 하게 됐습니다. 2017년도에 열렸던 ‘목멱산59’공연에 무용수로도 참여했습니다. 참가하는 작품마다 감정 표현이나 춤동작들을 항상 좋게 봐주시고, 제가 노력하는 모습을 지켜보시기도 하셔서 이번 공연도 불러 주시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또, 제 이미지나 춤동작들이 직녀와 딱 맞아떨어진다고 생각하신 거 같습니다.(웃음)
Q ‘직녀’ 역할에서 어떤 부분이 관객에게 전달되었으면 하는지요?
견우와 직녀의 설화에서 가장 먼저 느꼈던 것은 그리움과 간절함이었습니다. 그렇게 보니 단순한 견우와 직녀의 설화라는 딱딱한 이야기가 아닌, 사람들의 사랑 이야기가 떠오르더라고요.
다들 누군가를 사랑하면서 절실한 감정을 느껴봤을 것이고, 그립다는, 간절함 등을 느껴봤을 거예요. 그렇기에 관객분들이 제가 재해석한 직녀를 보시고 자신들의 사랑 이야기를 떠올리며 공감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관객분들이 공연을 즐겁게 보시고 가시는 것도 좋지만, 사랑했을 때를 떠올리며 ‘나도 그랬지’라는 잔잔한 여운을 느끼고 가셨으면 좋겠어요.

Q ‘목멱산59’ 공연만의 특별한 점은 무엇인가요?
‘목멱산 59’는 동서양이 한 번에 느껴지는 작품이라 생각합니다. 서양 음악이 가득 찬 아름다운 선율 안에서 한국적인 움직임을 표현한다는 건 무용수로서 느껴 보지 못했던 새로운 만남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장현수 안무가께서도 즉흥적인 안무 지시가 아닌, 무용수가 충분히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표현을 꺼낼 수 있는 시간을 많이 주십니다. 그리고 꺼낼 수 있게 이미지 트레이닝도 많이 해주십니다.
저는 즉흥적으로 꺼내는 것 보다, 역할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고 느껴야지 무언가를 꺼낼 수 있는 스타일인데, 장현수 안무가께서는 안무가로서 답답할 수도 있지만 충분한 시간을 주십니다.
또, 이런 장면에서는 움직임이 이렇게 나올 것 같다는 제 의견도 듣고 반영을 해주시는 것이 여기만의 특별한 점 같습니다.
Q 코로나19로 공연 분야가 어려운데, 본인이 느끼는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땀 흘리며 열심히 준비한 공연이 취소돼 관객에게 보여줄 수 없다는 점이 아쉽더라고요. 무언가를 이뤄갈 때 느껴지는 성취감이 없어지다 보니 자존감까지 낮아지게 되는 순간들도 있었습니다.
코로나19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을 사람들에게 예술로 위로의 마음을 전달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비대면 시대로 온라인을 통해 공연을 볼 수 있지만, 관객과 마주 보고 소통할 수 없는 것이 저에게 가장 큰 아쉬움입니다.
이는 많은 무용수가 느끼고 있을 아쉬움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아쉬움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지금 제가 설 수 있는 곳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합니다.

Q 이번 공연을 찾으실 관객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제 인생에서 무대와 함께 하는 시간은 당연했고, 일상이었습니다. 이제는 당연한 것이 아님을 깨닫고 마주하는 공연을 더욱 특별하고 소중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모두가 조심해야 하는 어려운 시기에 ‘목멱산59’공연에 관심 가져 주시고 먼 길까지 오시는 관객분들에게 어떤 감사의 표현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어렵게 찾아오시는 관객분들 마음에 따뜻함이 잔잔하게 채워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해 공연에 임하겠습니다.
Q 무용수로서 앞으로 계획은?
예전부터 무대에 서는 매 순간 제 춤이나 작품을 보면서 용기를 얻거나 누군가의 한 줄기의 빛이 되길 바랐습니다. 그래서 어느 순간부터 춤만 좋아서 추는 것이 아닌, 누군가가 자신만의 이야기를 갖고 오면, 작품으로 만들어서 선물해주고 싶다는 목표가 생기게 됐습니다.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들이 많은 이들의 마음에 닿길 바라며, 느리지만 한 단계 한 단계 저를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한편, ‘목멱산59’는 오는 5월29일(토), 30일(일) 양일간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오후 5시에 열린다.
- [인터뷰/ ‘목멱산59’ 출연 무용수④] 겨울 박슬종, 한예진 – 안무가의 동작에 무용수 각자의 느낌과 스토리가 더 해지는 3위 일체의 공연
- [인터뷰/목멱산59 출연 무용수③] 무용수 임승환·류지선, “무용수가 생각하고 표현한 역할···관객도 함께 느꼈으면”
- [인터뷰/‘목멱산59’ 출연 무용수②] 무용수 한지원, 솔로 ‘기도하는 여인’ 감사반 부담반···기도하는 춤 동작에 중점 둬
- [인터뷰/‘목멱산59’ 출연 무용수①] 비추(悲秋)의 계절, 애상을 표현하는 ‘정영수’
- ‘농가월령가’를 통한 남산의 4계절 표현···2021년 ‘목멱산59’ 공연 열려
- 서울시민, 1인당 문화예술 4회 관람, 7만4천원 지출... 코로나 이전 대비 40% 줄어
- 서울시, 제1회 서울 유니버설디자인 대상 개최
- 서울문화재단, 시민의 라이프 스타일 반영한 문화‧예술 분야 참여 ‘생활문화사업’ 공모!
- 51회 동아무용콩쿠르 강선영상 신설, 첫 수상에 권영성, 김소연
- 들숨 무용단 대표작, 2021년 ‘목멱산59’ 공연 막 올라
- [인터뷰/ ‘목멱산59’ 출연 무용수⑥] 여름 곽상원, 제갈찬미 – “설명이 필요 없는, 춤 동작 하나만으로 표현이 되는 그런 공연이 되었으면”
- [Fun 喜·인터뷰] 목멱산59 참가 무용수···“힘들게 준비한 공연, 관객들 에너지 받으며 모든 것을 보여줘, 후회는 없어요”
- [기고] 목멱산에 걸린 여인의 일생···달그림자 속 , '목멱산59'(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