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경기 부진에 구인배수 하락...고용보험 제조업·건설업 가입자 감소

(문화뉴스 조윤진 기자)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 한 명당 일자리 수가 지난달 0.4개에 그치며 26년 만에 7월 기준 최저치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가 11일 발표한 '고용행정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고용서비스 통합플랫폼 '고용24'를 이용한 7월 신규 구인 인원은 16만5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만4천명(16.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신규 구직 인원은 41만1천명으로 2만1천명(5.5%) 증가했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를 의미하는 구인 배수는 0.40으로, 지난해 7월(0.51)보다 하락했다. 이는 1999년 7월(0.39) 이후 7월 기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구인배수가 감소한 건 제조업 경기가 많이 부진한 게 원인"이라면서 "제조업 분야에서 일자리 숫자가 줄고 있고, 제조업의 구인도 크게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7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1천559만9천명으로 전년 대비 18만명(1.2%) 늘었지만, 코로나 시기를 제외하면 2003년 7월(10만6천명) 이후 가장 낮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가 20만3천명 늘며 견고한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제조업과 건설업은 각각 5천명, 1만9천명 감소했다. 제조업은 생산 및 수출 부진, 건설업은 업황 불황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제조업 가입자는 384만6천명으로 자동차, 의약품, 식료품, 화학제품 분야에서 늘었지만, 금속가공, 섬유,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등은 줄었다.
고용허가제 외국인 당연 가입 증가분을 제외하면 제조업 분야에서 2만4천명이 줄었다. 고용허가제 외국인(E9, H2)의 89.8%가 제조업에 종사하는 만큼, 내국인 인력 이탈을 외국인이 대체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건설업 가입자 수는 75만명으로 종합건설업을 중심으로 2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서비스업 가입자 수가 1천85만4천명으로 보건복지를 중심으로 대부분 산업에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천 과장은 "일자리 증가를 주도하는 서비스업 분야에서 민생회복 지원 등이 소매 판매에 영향을 미쳐 일자리 증가로 나타난다면, 제조업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구인배수가) 소폭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7월 구직급여(실업급여) 신규신청자는 11만1천명으로 1천명(0.6%) 감소했으나, 구직급여 지급자는 67만3천명으로 2만1천명(3.2%) 증가했다. 또한 지급액은 1조1천121억원으로 354억원(3.3%) 늘었다.
사진=연합뉴스, 고용노동부
문화뉴스 / 조윤진 기자 press@mh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