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뉴스 주진노 기자) 롯데그룹이 롯데카드 해킹 사고와 관련해 강력한 입장을 내놨다.

21일 롯데그룹은 "롯데카드는 롯데그룹에 속한 계열사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고객 오인으로 인한 브랜드 가치 훼손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밝혔다.

롯데카드의 대주주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로, 롯데는 지난 2017년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금융·보험 계열사 지분 보유가 불가능해지면서 2019년 롯데카드를 MBK파트너스에 매각했다. 다만 여전히 '롯데' 브랜드를 사용하고 있고 다양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계열사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번 해킹 사고로 인해 롯데그룹 전체가 실질적 피해를 입고 있다는 입장도 덧붙였다. 롯데그룹은 "이번 해킹 사고로 인해 롯데는 회복하기 어려운 유무형의 피해를 입고 있다"며 "롯데카드 고객 이탈이 늘어나게 되면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롯데 사업장에서의 매출 감소도 불가피하며 무엇보다 롯데카드를 롯데 계열사로 오인하는 고객들이 느끼는 신뢰 하락이 뼈아프다"고 강조했다.

롯데그룹은 특히 롯데카드가 임직원 전용 카드 발급을 담당하고 있어 일부 임직원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해킹 사고의 영향이 그룹 내 사업 전반에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사안의 심각성을 언급한 것이다.

롯데그룹 비스니스 사업군
롯데그룹 비스니스 사업군

 

현재 롯데그룹은 식품, 유통, 화학·건설·제조, 관광·서비스·금융 등 다양한 사업군에 걸쳐 계열사를 운영하고 있다. 식품 부문에는 롯데웰푸드, 롯데칠성음료(음료BG·주류BG), 롯데 네슬레, 롯데아사히주류, 롯데피플네트웍스, 롯데중앙연구소, 롯데지알에스 등이 있다.

유통 부문에는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슈퍼, 코리아세븐, 롯데하이마트, 롯데홈쇼핑, 롯데 e커머스, 롯데멤버스, 롯데컬처웍스, 에프알엘코리아, 롯데지에프알, 한국에스티엘 등이 포함된다.

화학·건설·제조 부문에는 롯데엠시시, 롯데건설, 롯데CM사업본부, 롯데알미늄, 롯데정밀화학, 롯데케미칼, 롯데이네오스화학, 캐논코리아 주식회사, 케이피켐텍, 한국후지필름 등이 있다.

관광·서비스·금융 부문에는 롯데글로벌로지스, 롯데렌탈, 롯데리조트, 롯데면세점, 롯데문화재단, 롯데물산, 롯데미래전략연구소, 롯데복지재단, 롯데삼동복지재단, 롯데스카이힐CC, 롯데월드, 롯데인재개발원, 롯데자산개발, 롯데자이언츠, 롯데장학재단, 롯데이노베이트, 롯데제이티비, 롯데캐피탈, 롯데호텔, 대홍기획, 부산롯데호텔, 롯데상사 등이 운영되고 있다.

롯데그룹은 이 같은 광범위한 사업 영역에서의 협력 구조상, 롯데카드의 사고로 인해 연쇄적인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롯데그룹은 롯데카드 측에 브랜드 가치 훼손과 고객 신뢰 하락에 따른 중대한 피해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으며, 지난 18일 롯데카드가 대표이사 명의의 사과 공문을 보내왔다고 전했다.

 대규모 해킹사태가 발생한 롯데카드의 조좌진 대표가 19일 서울 종로구 롯데카드 본사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의 대규모 해킹 피해 롯데카드 현장조사'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2025.9.19
 대규모 해킹사태가 발생한 롯데카드의 조좌진 대표가 19일 서울 종로구 롯데카드 본사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의 대규모 해킹 피해 롯데카드 현장조사'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2025.9.19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는 '롯데카드 사이버 침해사고에 대한 대표이사 사과'라는 제목의 공문에서 롯데그룹과 임직원, 고객에게 사과하며 "사고로 인한 혼잡이 종료될 때까지 대표이사로서 끝까지 직접 챙기겠다"고 밝혔다.

사진 제공 = 롯데물산, 연합뉴스

문화뉴스 / 주진노 기자 eveleva@naver.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