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르 브뤼’와 ‘아웃사이더 아트’ 개념을 중심으로 비주류 예술 100년사 조망, 국내 단행본으로는 최초
-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다양성과 포용’을 강조하는 현 시대에 걸맞은 비주류 예술의 역할과 가능성 재발견

 

『아르 브뤼와 아웃사이더 아트: 그렇게 외부자들은 예술가가 되었다』는 한국의 독학 예술가(self-taught artist)로 활동하고 있는 오혜재의 세 번째 비주류 예술서다. 2021년 저서 『저는 독학 예술가입니다』는 한국 사회에서 평범한 직장인이 비주류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피력한 자전적 에세이였다. 2022년 저서 『독학 예술가의 관점 있는 서가: 아웃사이더 아트를 읽다』는 국내 비주류 예술의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한 ‘바로미터’(barometer)로서, 산재해 있던 국내 비주류 예술자료들을 찾아내 소개·분석한 자료였다.

이번에 발간한 『아르 브뤼와 아웃사이더 아트: 그렇게 외부자들은 예술가가 되었다』는 비주류 예술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그 미래에 대해 고민할 수 있도록 지난 100년 간의 비주류 예술사를 압축한 ‘엑기스 노트’다. 이 책은 전 세계 곳곳의 비주류 예술 자료와 관련 기관·단체 홈페이지 내용을 일일이 번역·해석하고, 몇 안 되는데다 절판까지 된 국내 자료들을 찾아 중고책방을 헤맸던 저자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이 책은 ‘아르 브뤼’(Art Brut)와 ‘아웃사이더 아트’(Outsider Art) 개념을 중심으로 비주류 예술 100년사를 조망하는 국내 최초의 단행본이다.

오늘날 국제사회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016-2030) 등을 통해 다양성과 포용, 통합과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책은 현 시대가 요하는 이들 가치가 발현되는 데 있어 비주류 예술의 역할과 가능성을 재발견하고, 비주류 예술의 ‘불모지’나 마찬가지인 한국 사회에서 비주류 예술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증진시키는 요긴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예술은 사람들이 마련해 놓은 침대에서 잠들지 않는다.
진정한 예술은 예술이라고 불리는 동시에 사라지기에, 익명으로 남기를 원한다.
예술의 최고의 순간은 그 이름마저 잊을 때다.” 
- 장 뒤뷔페
  

현대 사회의 통합과 평등을 위한 예술적 재발견: 비주류 예술의 역할과 가능성

20세기 초, 정신의학은 '광인'을 중심으로 한 소외계층과 약자들의 예술적 역량과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는 아르 브뤼(Art Brut)와 아웃사이더 아트(Outsider Art)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미국과 유럽에서 비주류 예술이 개념화되고, 세분화되며, 확대되고 정착하는 과정을 거쳤다. 현재까지도 이러한 예술의 진화와 발전은 계속되고 있다.

현 시대가 통합과 평등을 중시하는 만큼, 비주류 예술이 가지는 의미는 더욱 중요해졌다.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가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다'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사회적 격차 해소와 포용, 연대를 강조하는 것처럼, 비주류 예술 또한 문화다양성의 수용, 문화 간 교류, 예술가의 창작 및 표현의 자유, 보편적 문화 접근성 및 관련 활동 참여, 문화를 통한 사회적 연대를 재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저자인 오혜재는 한국의 독학 예술가로, 정규 미술교육을 받지 않고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구축해왔다. 그녀는 다양한 국제 예술 활동에 참여하며, 자신의 경험과 관점을 통해 비주류 예술의 가치와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비주류 예술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끼며, 이 책을 통해 그러한 목소리를 전하고자 한다.

이 책은 비주류 예술의 기원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와 발전 과정, 주류와의 관계, 그리고 사회적 의미와 역할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다. 아르 브뤼와 아웃사이더 아트의 태동, 특징, 다양한 갈래 등을 포함한 비주류 예술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비주류 예술이 현대 사회에서 가지는 중요한 위치와 그로 인해 던져지는 시사점을 재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기사
드라마 최신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