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잔류’ 현상, AI 인재 수요 확대…경력 채용 선호도 높아져
잡코리아, 하반기 취업·이직 전략으로 ‘타이밍·AI 활용·스텝바이스텝’ 제시

‘직장인 퇴사 바람 멈췄다’…잡코리아 “AI 채용은 기회, 공채 타이밍 주목해야” / 사진=잡코리아
‘직장인 퇴사 바람 멈췄다’…잡코리아 “AI 채용은 기회, 공채 타이밍 주목해야” / 사진=잡코리아

(문화뉴스 이건희 기자) 잡코리아가 13일 ‘2025 상반기 취업 트렌드 리포트’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상반기 직장인 퇴사율이 지난해 하반기 대비 2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불확실한 경기 흐름 속 ‘대잔류’ 현상이 더욱 뚜렷해졌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보수적인 채용 기조와 함께, 현 직장을 유지하는 선택이 구조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는 해석이 제시됐다. 이 같은 현상은 ‘회사 밖은 지옥’이라는 말이 현실로 받아들여지면서, 안정에 대한 직장인들의 선호가 강화됐다는 분석과 맞닿아 있다.

한편, AI 분야 인재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상반기 동안 ‘AI’가 포함된 채용공고가 전년 하반기보다 8%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취업과 이직에서 AI 역량이 필수로 요구되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직장인 퇴사 바람 멈췄다’…잡코리아 “AI 채용은 기회, 공채 타이밍 주목해야” / 사진=잡코리아
‘직장인 퇴사 바람 멈췄다’…잡코리아 “AI 채용은 기회, 공채 타이밍 주목해야” / 사진=잡코리아

경력직을 선호하는 기업 트렌드는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신입 지원이 가능한 공고 비중이 줄어든 반면, 경력자를 찾는 채용공고는 3.1% 증가했다. 즉, 실무에서 바로 투입될 수 있는 경력직이 더욱 각광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잡코리아는 이같은 채용시장 흐름을 바탕으로 하반기 취업 및 이직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세가지 전략을 권고한다. 첫째, 채용 시즌의 변동 폭을 활용하는 ‘타이밍 전략’으로, 상반기에는 공고가 2~4월, 지원은 4~5월에 집중됐으며 하반기에는 채용공고가 8~10월, 지원은 10~11월에 몰렸다는 통계를 제시했다. 경쟁률이 낮은 시점을 노리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조언이다.

둘째, 도메인별 전문성과 AI 활용 경험을 결합해 차별화된 역량을 드러내면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안내했다. 셋째, 중소기업에서의 실무 경험을 기반으로 중견·대기업 이직을 노리는 ‘스텝바이스텝’ 경로 또한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리포트는 2024년 7월 1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 1년 동안의 잡코리아 자체 데이터를 기준으로 분석 및 작성됐다.

문화뉴스 / 이건희 기자 press@mhns.co.kr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