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타트업 육성 본격화...지역 특화 전략 기반 기업 밀착 지원
나니아랩스·바스젠바이오, 기술 기반 성장 전략 및 IPO 준비도 본격화

(문화뉴스 이윤서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연구개발특구 내 인공지능(AI) 글로벌 빅테크 육성사업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두 기관은 지난 25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 연구개발특구 AI 확산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각 지역의 특화분야를 기반으로 한 연구개발특구에서 AI 산업 확산 전략과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직접 듣기 위해 마련됐다. 과기정통부 연구성과혁신관이 주관하고 AI 분야 창업자와 연구진 3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반도체 후공정 검사 솔루션 기업인 블루타일랩 현장 방문으로 시작됐다. 블루타일랩은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기술을 이전 받아 3D 패키징 후공정 혁신을 이끄는 AI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극초단파 레이저, 광학현미경 시제품 등 첨단 장비가 이날 소개됐으며, 관련 사업으로 5년간 AI 검사장비 분야 매출 500억 원, 블루타일랩은 향후 5년간 AI 검사장비 분야 매출 500억 원, 3년간 기업 투자유치 3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행사장 내 ETRI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에서는 스타트업 시제품 제작시설, ICT 융합 테스트베드, 기술 상담 프로그램 등 초기 창업 인프라에 대한 소개도 이어졌다.

간담회에서는 연구개발특구 내 AI 기업 성장을 위한 장기 전략과 정책 방향이 논의됐다.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사업의 주관기관인 글로벌오픈파트너스는 AI-X 핵심기술 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연계하는 기업 맞춤형 프로그램과 혁신주체 간 협업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경쟁형 R&BD 주관기관인 나니아랩스와 바스젠바이오가 각자의 사업화 전략을 발표했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율설계 솔루션 전문기업 나니아랩스는 KAIST 미래선도기술 대표성과로 제조업 특화 노코드 AI 플랫폼을 개발 중이며, 오는 2027년 IPO(기업공개) 추진 의사를 밝혔다. 바스젠바이오는 127억 원의 누적 투자로 성장한 AI 기반 바이오 빅데이터 기업으로, 사업을 통해 AI 임상시험 시뮬레이션 솔루션 상용화와 내년 기술특례 상장 계획을 공개했다.
이외에도 엠에스아이랩스, 제이엔이웍스, 케이쓰리아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KAIST, ETRI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AI 기술 확산과 관련 기업 지원 방안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펼쳤다.
이은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혁신관은 “AI는 모든 산업 전반에 적용돼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중대한 분야”라면서, “연구개발특구 역량을 결집해 AI의 전환과 확산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과기정통부
문화뉴스 / 이윤서 기자 press@mh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