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화가 있는 날·예술이 있는 삶을 빛냅니다…문화뉴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미술작품을 연극으로 해석하는 시도가 펼쳐진다.
마임이스트 고재경의 '잠깐만'은 다양한 장르를 연극적 구성으로 짠 작품이다. 미술, 무용, 연극 등 다양한 문화 소비층과 일반 관객들에게 예술의 다양성을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작품의 목적이다. 고재경은 "이 시대 예술인들이 가져야 할 영혼을 19세기 명화에서 찾는다. 명화는 그 자체만으로도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며 "우리에게 익숙한 모네, 밀레, 클림트, 뭉크, 고흐의 그림 너머에는 어떤 이야기가 있을까? 명화에는 예술가의 삶, 인간의 감정, 역사와 사회, 자연의 본질 등과 같은 다양한 이야기가 숨어 있다"고 밝혔다.
고재경은 "이 이야기들에는 미적 가치는 물론이고 그 시대 예술가들의 애환까지 묻어 있음은 물론이다"라며 "마임과 무용을 결합해 연극적으로 구성하는 이 작품을 통해 이 시대 예술가들의 길과 삶을 다시 한 번 사유해 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 | ||
이처럼 마임이라는 장르를 중심으로 다양한 공연형식과 소통하고 대중적인 레퍼토리를 개발하고 있는 마임공작소 판의 '잠깐만'은 19세기 명화를 소재로 마임과 무용을 결합하여 연극적 구성으로 만든 작품이다. 2013년 초연 당시 안산거리극축제, 피지컬씨어터페스티벌, 영호남연극제에 초청되어 그 가능성을 인정받았던 '잠깐만'을 재창작하여 작품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대중성과 작품성을 갖춘 경쟁력 있는 순수창작품으로 만들었다.
'잠깐만'은 대중들에게 친숙한 모네, 밀레, 고흐, 뭉크, 클림트와 같은 작가의 작품들을 연극적 구성으로 제작한다. 또한, 마임과 무용, 미술의 장르 간 협업을 통한 다양한 변주를 시도함으로써 연극예술의 다양성을 구축한다.
이 연극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작품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하지만, 매번 실수투성이인 '단장'과, 가끔은 투정을 부리지만 작품을 위해서라면 몸을 아끼지 않는 단원들. 그들은 길거리 공연자들이다. 오늘도 오프닝 공연을 하지만 관객들의 반응은 시큰둥하기만 하고, 단원들은 금세 의욕을 잃는다. 하지만 항상 공연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단장은 금세 새로운 영감으로 모네의 '양산을 쓴 여인'을 단원들에게 제안한다.
1987년 데뷔해 25년간 국내외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한 마임이스트 고재경은 "작품은 적극적으로 관객을 참여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공연자들의 열정만으로 채워지기도 한다"며 "작품 제목 '잠깐만'엔 가던 길을 잠깐만 멈추고 길거리 공연을 하는 그들과 함께하기를 바라는 그들의 '희망'이 담겨 있기도 하다. 관객들은 작품을 통해 그림 속 인물과 이야기가 눈 앞에 펼쳐지는 경험을 하게 되고, 작품을 향한 공연자들의 열정을 통해 삶을 반추하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 | ||
마임이스트 고재경과 더불어 USD현대무용단원 출신의 이지혜, 김혜숙이 출연하는 이번 공연은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활동 지원사업 선정 작품으로 11월 2일부터 4일까지 오후 8시 대학로 스타시티 TM 스테이지에서 열린다.
문화뉴스 양미르 기자 mir@mh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