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 전액 지급 요구한 노조, 사측 제안 거부
기본급 1700%+α 제시에도 갈등 지속
성과보상 기준 논란, 신뢰 붕괴 우려

(문화뉴스 이건희 기자) SK하이닉스 노동조합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총파업 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사측과의 강대강 대치 국면에 들어갔다.
올해 역대 최대 영업이익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성과급 지급 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파국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지난 6일 오후 SK하이닉스 이천·청주·사무직 등 3개 노조는 충북 청주시 흥덕구 청주3캠퍼스에서 1차 총파업 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2000~3000여 명의 조합원이 참석했으며, 노조는 오는 12일 경기도 이천 슈펙스센터 앞에서 2차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이번 사태의 핵심은 초과이익분배금(PS) 지급 방식을 둘러싼 양측의 입장차다. SK하이닉스는 2021년부터 영업이익의 10%를 PS 재원으로 삼아 개인 성과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해왔으며, 지난해에는 PS 1500%(기본급 기준)와 자사주 30주를 지급했다.
올해는 연말까지 영업이익이 약 37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사측은 기존 기본급 1000%였던 PS 상한을 1700%+α로 확대하고 초과 재원의 절반을 연금 또는 적금 형태로 지급하는 안을 제시했다. 나머지 절반은 미래 투자나 추가 PS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노조는 기존 원칙대로 영업이익의 10% 전액을 성과급으로 지급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지급 기준의 불명확성과 사측의 일방적인 제안 구조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이를 성과 배분 원칙의 후퇴로 보고 있다.
고상남 SK하이닉스 청주 노조위원장은 "회사가 실적에 맞는 임금 인상과 성과급 지급 기준을 변경할 때까지 강도 높은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HC ROI, 리저브 방식 등은 노동자의 정당한 성과보상 체계를 무력화시키는 장치"라고 규탄했다.
노조는 총파업에 앞서 쟁의 절차, 단체협약 대응, 간부 역할 등을 중심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38년간 적립한 기금 66억 원을 전액 투쟁기금으로 전환한 상태다.
업계에선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반도체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미국의 반도체 품목 관세 부과 방침이 예고된 상황에서 생산과 납품 차질이 발생할 경우, 고객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첨단 제품군을 앞세워 올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대하고 있지만, 노사 갈등이라는 내부 리스크가 경영에 새로운 부담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화뉴스 / 이건희 기자 press@mh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