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국-베트남 문화 교류 의미 더해
“달항아리·반가사유상 인상적”…깊어진 양국 우정

김혜경 대통령 부인은 11일 서울에서 베트남 당서기장의 배우자인 응오 프엉 리 여사와 만나 대화를 나눴다.
이날 두 여사는 공식 환담을 통해 서로의 문화예술적 관심사를 공유했다. 김혜경 여사는 응오 프엉 리 여사가 미술을 전공했고, 국영방송사 문화예술국장 경력이 있는 점을 언급하며 “피아노를 전공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아 꼭 뵙고 싶었다”는 뜻을 전했다.
응오 프엉 리 여사는 “따뜻하게 환영해줘 감사하다”며, 한-베트남 간 문화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답했다.
두 인사는 양국의 인적 교류를 비롯해,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 여성과 다문화 가정에 관한 사안에도 의견을 나눴다. 전날 베트남 여성들과의 만남을 언급한 응오 프엉 리 여사에게, 김혜경 여사는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과 베트남 여성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꾸준히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45분간 진행된 환담 후, 김혜경·응오 프엉 리 두 여사는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의 안내로 박물관 상설전시를 관람했다. 반가사유상, 외규장각 의궤, 백자 달항아리, 감산사 불상, 경천사지 십층석탑 등이 주요 관람 유물이 됐다.
이 자리에서 응오 프엉 리 여사는 “반가사유상이 고뇌라기보다는 은은한 미소를 띠고 있어 인상 깊다”고 말했다. 김혜경 여사는 박물관의 인기 상품인 반가사유상 미니어처를 소개하기도 했다.
아울러 김혜경 여사는 베트남의 도자 문화를 언급하며 “한국 역시 달항아리를 통해 도자 기술의 수준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고, 응오 프엉 리 여사는 “달항아리가 간결해 보이지만 큰 매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김혜경 여사는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영향 등으로 박물관을 찾는 이들이 늘었다고 전해 들었다면서, 관람객 증가 상황에 대해 유홍준 관장에게 질문했다. 유 관장은 주말이면 개장 전부터 관람객이 대기하고 있고,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약 92%의 관람객 증가가 있었다고 알렸다.
응오 프엉 리 여사는 베트남에서 영화, 음악, 음식 등 K-컬처가 일상이 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국립중앙박물관 관람을 통해 K-컬처의 정체성과 가치를 직접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아쉬움을 표하며 "꼭 다시 방문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혜경 여사는 이번 만남이 특별한 기억으로 남았으며, 앞으로의 재회를 바란다고 전했다.
두 여사는 공식 굿즈 매장 ‘뮷즈샵’도 들러 상품을 살펴봤고, 박물관을 방문한 시민들과도 인사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