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 민요ㆍ판소리 무형문화재 보유자들 참여한 2,800여개 국악 디지털 음원 5월 10일부터 공개해
국립국악원 누리집 국악 디지털 음원 사이트 통해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출처표시 후 자유롭게 이용 가능
[문화뉴스 금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고기석)이 5월 10일부터 누리집 '국악기 디지털 음원 서비스'를 통해 민요와 판소리 등 약 2,800개 음원을 새롭게 공개한다.
국립국악원은 2009년부터 국악기 대중화를 위해 미디(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에서 창작에 활용할 수 있는 국악기 디지털 음원을 개발해왔다. 지난해에는 이용자 편의를 위해 기존 '단음' 음원 외에 짧은 선율의 '악구' 음원을 추가했고, 올해는 악기 음원을 넘어 명창들의 소리 음원을 새롭게 제작해 공개한 것이다.

민요와 판소리 등 음원 제작을 위한 녹음에는 안숙선, 이춘희 등 무형문화재 보유자들과 국립국악원과 국립극장 소속 단원들이 참여했다. 음원에는 개성 있고 정감 어린 아니리, 추임새 등도 포함되어 K-pop 대중음악, 유튜브 제작 등 다양한 콘텐츠 생산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국악원에서 지난해 9월부터 제공한 19종 국악기의 '단음' 음원 407개와 궁중음악, 풍류, 민속악을 악기로 연주하는 4초~25초 길이의 짧은 '악구' 음원 2,226개는 올해 2월 기준 총 13,000여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악구 음원은 작업자가 원하는 템포와 길이로 작업이 가능하다.
국악 음원은 국립국악원 누리집의 국악 디지털 음원 사이트를 통해 5월 10일 서비스되며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출처표시 후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국립국악원 서인화 국악연구실장은 "이번에 새롭게 공개하는 음원은 친근한 민요와 판소리가 중심이 되는 만큼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국악원은 올 하반기에는 이를 활용한 새 음악 공모전도 개최할 계획이다.
- [볼빨간 신선놀음] ‘청정 트롯’ 양지은, 일일신선 출격!
- 5월 공연 '모보경의 춘향가',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 5월 12일부터 16일까지 '제4회 중국희곡 낭독공연', 아시아 연극 교류의 장 열린다
-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5월 공연, ‘모보경의 춘향가-정정렬제’
- 판소리극 '햄릿, 혼잣말'..소리북과 피아노의 만남
- 코로나19 불구, 불법복제물 이용률 전년 대비 감소
- 남산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리모델링 통해 새 단장 완료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완창판소리 6월 공연, ‘정회석의 심청가-강산제’
- '강효주 경기소리 激', 전통성악 전 장르와 농밀(濃密)한 콜라보 무대를 선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