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200억 달러 교역 확대 목표
브릭스 차원 대(對)트럼프 전선 가능성

지난 달 브라질리아에서 만난 인도 총리(왼쪽)와 브라질 대통령
지난 달 브라질리아에서 만난 인도 총리(왼쪽)와 브라질 대통령

(문화뉴스 이지민 기자) 브라질과 인도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맞서 협력 의지를 강화했다.

지난 7일(현지시간) 브라질 대통령실은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1시간가량 전화 통화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글로벌 경제 상황과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인도 정부도 “양국 정상이 관세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브라질과 인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에 따라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50%의 관세율을 부과받았다.

브라질은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쿠데타 모의 혐의 재판 등을 이유로, 인도는 기존 25%에 러시아산 석유 구매에 따른 추가 25% 관세를 부과받았다.

브라질 대통령실은 “브라질과 인도가 다자주의 수호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현재의 도전 과제에 대응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재확인했다”며 “이를 계기로 더 깊은 통합 가능성을 모색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룰라 대통령은 내년 인도를 국빈 방문할 예정이며, 지난달 모디 총리의 브라질 국빈 방문 때 설정한 오는 2030년까지 200억 달러 규모의 교역 확대 목표 달성 의지도 재확인했다.

이번 통화는 룰라 대통령이 미국 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 가능성을 브릭스(BRICS) 정상들과 논의하겠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

그는 전날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중국과 인도에 먼저 연락을 취할 것”이라며 브릭스 차원의 대(對)트럼프 전선 구축 가능성을 내비쳤다.

브릭스는 이미 달러 패권에 맞설 대안을 모색해왔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달러를 버리면, 그들 제품에 100% 관세를 물릴 것”이라고 위협했다.

양국은 인도와 남미공동시장(MERCOSUR·메르코수르) 간 우대 무역 협정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브라질의 ‘Pix’와 인도의 ‘UPI’ 등 가상 결제 플랫폼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

Pix는 미국에서 자국 카드사 영업에 영향을 준다는 이유 등으로 무역법 301조에 근거한 불공정 무역 조사 대상에 올라 있다. 룰라 대통령은 미국과 관세 논의 테이블이 마련되더라도 Pix를 협상 의제로 삼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시사했다.

 

사진=연합뉴스

문화뉴스 / 이지민 기자 ijimin269@gmail.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