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월 휴원조치 129일 만…서울 전역 총 5,228개 어린이집 정상운영
개원 전 모든 보육교직원 및 아동 가구당 1인(부모 등) 코로나19 선제검사 권고

[문화뉴스 금별 기자] 서울 전역 어린이집이 내달 1일부터 다시 문을 열고 일제히 정상 운영에 들어간다. 세밀한 방역체계로 보육일상을 회복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국공립‧민간‧직장 등 총 5,228개 어린이집에 내린 휴원 조치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휴원 조치가 내려진 작년 11월 24일로부터 129일 만이다.

사진= 서울시 제공
사진=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총 25만여 명에 이르는 어린이집 아동과 보육교직원의 안전을 위해 작년 2월 25일 관내 전체 어린이집에 대해 선제적으로 휴원 조치를 내린 바 있다.(10.19. 해제) 이후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커지면서 작년 11월 24일 다시 휴원 조치를 내렸다.

서울시는 어린이집 휴원 중에도 방역수칙 준수 하에 긴급돌봄을 실시해 등원율이 87%에 이르고 있는 만큼, 강력한 방역수칙으로 감염 위험은 최소화하면서 휴원 장기화로 가중되고 있는 보호자들의 보육부담을 완화한다는 목표다.

휴원 중에도 긴급보육 체제로 운영하면서 외부인 출입금지 원칙, 특별활동 금지, 어린이집 내 거리두기 유지 등 코로나19 확산방지에 역량을 집중, 집단감염을 최소화했다. 그러나 휴원 장기화로 정상적인 보육활동과 어린이집 운영에는 많은 제약이 있었다.

우선, 서울시는 전체 어린이집에 개원 전 모든 보육교직원과 부모 등 재원 아동 가구당 1인이 선제검사를 받도록 해, 무증상 확진자를 조기에 발견할 것을 권고했다. 또, 특별활동을 전면 허용하되 외부 강사에 대한 선제검사를 의무화하고 교재‧교구 소독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앞서 서울시는 올해 새 학기를 앞두고 각 어린이집에서 시간대별 방역수칙표 배포 완료, 열화상카메라 등 16억 원 상당 방역물품도 지원한 바 있다.

한편,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이번 전면 재개원을 통해) 휴원 장기화로 가중됐던 보호자들의 보육부담을 완화하고 보육일상을 회복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아이를 맡기는 보호자들이 개별 가정만큼이나 어린이집이 안전한 곳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어린이집과 보호자의 유기적인 협력 하에 방역수칙 준수를 생활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