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보존 유구 관리, 체계적 사적지 정비 제도 개선 추진

사진=문화재청 제공 / 도난 당한 천관사지 석등 하대석
사진=문화재청 제공 / 도난 당한 천관사지 석등 하대석

[문화뉴스 장연서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이 경주 천관사지 석등 도난사건을 계기로, 고도(경주, 공주, 부여, 익산) 내 국가 사적 112개소 중 야외에 위치하여 경역 관리의 개선이 예상되는 사적지 44개소를 대상으로 긴급 실태 점검을 시행하였다.

이번 점검을 통해 문화재청은 'CCTV 미설치', '현장 보존 유구 관리체계 미비', '사적지 정비 계획 미수립' 등 사적지 보존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추진한다. 

경비인력 상주가 어려운 넓은 야외 사적지의 안전과 도난 예방을 위해 문화재청은 경주 망덕 사지 등 27개소(경주19, 공주2, 부여6)에 올해부터 2023년까지 25억 원을 투입하여 첨단 방재용 지능형 폐쇄 회로 (CC)TV를 설치하고, 지방자치단체 통합관제센터 내에 문화재 관리 전용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부여 관북리 유적 등 이미 정비를 마친 유적 19개소(경주12, 부여4, 익산3)에 대해서는 현장 보존 유구 도난을 예방하기 위해서 현장 보존 유구 목록화를 추진한다.

또한, 경주 보문동 사지 등 미정비된 유적 7개소(경주6, 부여1)에 흩어져 있는 노출 유구는 2023년까지 31억 원을 투입하여 기초(실측) 조사와 유구 보관소를 설치․운영하여 체계적으로 유구를 관리할 것이다. 

사적의 체계적인 정비와 보존 관리를 위하여 발굴 이후 사적지 정비가 의무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발굴조사 단계부터 종합 정비 계획을 포함하는 '국고보조사업 편성 지침'을 개정해 2022년 예산편성 심사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사적지 경역 관리를 위해 매년 사유지 매입 예산을 10%씩 증액하여 사유지 매입을 확대하고, 경역표시 설치, 미정비 사적의 조속한 정비 계획 수립 등 사적의 체계적인 보존 관리도 추진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전국의 사적지에 대한 실태 점검을 확대·추진하여 분야별 개선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 밝혔다.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