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 혼례복 등 모란 주제의 조선 왕실 용품 120여 점 공개
7월 7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고궁 박물관서 전시

사진=문화재청 제공
사진=문화재청 제공

[문화뉴스 장연서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오는 7일부터 10월 31일까지 모란꽃을 매개로 조선 왕실 문화를 살펴보는 특별전 '안녕安寧, 모란'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모란도 병풍을 비롯하여 궁궐의 그릇, 가구, 의복 등 각종 생활용품과 의례 용품에 즐겨 장식되던 모란꽃을 담은 여러 유물 120여 점이 대거 공개되며, 모란이 수놓인 창덕궁 왕실 혼례복이 처음 공개된다.

전시장은 창덕궁 낙선재에서 포집한 모란향으로 제작한 꽃향기가 전시공간에 퍼지도록 하고, 빗소리와 새소리 등 정원에서 들을 수 있는 생생한 자연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공간으로 꾸몄다. 

전시는 ▲ 1부 '가꾸고 즐기다', ▲ 2부 '무늬로 피어나다', ▲ 3부 '왕실의 안녕과 나라의 번영을 빌다'등 3부로 구성해, 모란이라는 식물과 그 무늬를 조선 왕실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즐겼는지, 그리고 그 안에는 어떠한 상징이 담겼는지를 집중 조명하였다.

영상과 조경물로 연출된 정원 형태로 꾸민 1부 전시에서 관람객은 올봄 창덕궁 낙선재 화계(花階, 계단식 화단)에 핀 모란에서 포집해 제작한 향을 맡으며, 빗소리, 새의 지저귐이 어우러진 정원에서 18~19세기의 대표적 모란 그림인 허련(1808~1832), 남계우(1881~1890) 등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2부에서는 조선 왕실 생활공간을 장식한 무늬로서의 모란과 그 속에 담긴 의미를 볼 수 있다. 혼례복과 가마와 같은 왕실 혼례에서 모란 무늬가 가장 극적으로 나타나는데, 총 2벌의 혼례복 중 한 벌이 창덕궁에서 전해 내려오는 활옷인데, 이번 전시에서 일반에 최초로 공개될 예정이다. 활옷 보존처리 중에 옷 속에서 발견한 종이심이 1980년 과거시험 답안지를 재활용한 종이라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마지막 3부에서는 왕실의 흉례(凶禮)와 조상을 모시는 의례에 사용된 모란을 조명했다. 흉례의 전 과정에 중심 유물인 모란도 병풍을 사용했다. 전시장 3면을 모두 모란도 병풍으로 둘렀으며, 관람객이 병풍을 최대한 가까이에서 볼 수 있도록 유물과 유리면 사이 거리를 좁혔다. 3부 마지막 부분에는 왕의 어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선원전을 연상시키는 공간을 조성하여 모란도 병풍과 향로, 교의, 의궤를 함께 전시해 왕실의 조상을 모시는 의례와 모란의 관계를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 '안녕, 모란' 특별전에 조선 왕실에서 모란을 사랑했던 마음을 정성껏 담아 전례 없는 전염병 속에서도 국민 모두가 탈 없이 평안하고 아름다운 일상을 되찾길 기원한다.

한편, 국립고궁박물관 특별전 관람을 위해서는 누리집을 통해 사전예약을 해야 하며 현장접수도 할 수 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사전예약과 현장접수를 합하여 시간당 100명, 일일 최대 1,000명까지 개인 관람으로만 입장이 가능하다.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