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회의, 콘텐츠 기획&개발, 투자 확대 방안 등에 대한 토의 진행
공청회에 관계 기업이 참여해 현장에 대한 발표와 토론 진행

[문화뉴스 김아현 기자] 국가적인 무역적자 위기 등 경제 위기를 극복할 방안으로 콘텐츠 산업이 우리나라의 전략산업으로 육성될 예정이다.
15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서비스산업 발전 TF 콘텐츠 반 제2차 회의를 개최한다.
서비스산업 발전 TF는 서비스 산업을 통해 수출을 활성화하고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작년 12월부터 만들어진 민관합동의 임시조직으로, 콘텐츠 반은 5개의 업종 중 하나의 작업반이다.
서비스산업 발전 TF 콘텐츠 반은 지난 1월 17일 제1차 회의에서 관계부처와 학계, 업계의 제안사항을 청취하고, 공정한 콘텐츠 산업환경 조성을 위한 법률 제정, 국내 OTT의 경쟁력 강화 방안, 콘텐츠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토의했다.
이번 제2차 회의에서는 연구기관과 공공기관의 콘텐츠 기획·개발과 투자 확대 방안, 수출지원 방안, 디지털 기술 활용 방안, 통계 고도화 등을 주제로 발표하고 관련 내용에 대한 논의를 이어간다.
특히 공청회에는 웨이브, 씨제이이엔엠(CJ ENM) 등 관계 기업 등이 참여해 현장 의견을 깊이있게 다루는 것은 물론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토론에서는 콘텐츠 기업들의 어려움 해소와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한 제도개선안과 함께 콘텐츠 수출을 확대하고 국가적인 무역적자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수출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전병극 차관은 “관계부처, 민간위원들과 논의해 콘텐츠 산업 발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도출하겠다.”라며, “경제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콘텐츠 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