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문광연 분석..."고용 유발 효과 7천928명"

[문화뉴스 양은정 기자] 방탄소년단이 신곡 '다이너마이트'로 빌보드 싱글 1위를 차지함에 따라 1조 7천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생긴다는 분석이 나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함께 방탄소년단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빌보드 '핫 100 차트' 정상에 오른 것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 유발 효과는 1조2천324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4천 801억원에 이른다고 7일 밝혔다.
이런 추산은 방탄소년단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규모와 한국은행 투입산출효,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 '구글 트렌드' 검색량 등을 종합해 분석한 결과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번 '다이너마이트'로 빅히트는 전 세계에서 2촌457억원의 수입을 올릴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방탄소년단이 지난해 빌보드 핫 200 1위에 올린 앨범 '맵 오브 더 솔:페르소나' 로 거둔 음반·음원, 공연, 지식재산(IP), 기타수입 등 직접 효과를 추정해 산출한 것이다.
또한, 다이너마이트 1위로 연관 소비재의 수출액 증가 규모는 3천717억원으로 계산됐다. 화장품이 2천763억원으로 가장 많고 식료품 741억원, 의류 213억원으로 추정됐다.
이 분석은 구글 검색을 통해 방탄소년단의 인지도가 증가하면 연관 소비재 수출도 일정 비율로 늘어난다는 현대결제연구원의 기존 분석 등이 활용됐다.
이런 직접 매출과 소비재 수출 증가에 따른 산업 연관 효과를 보면 생산 유발 효과는 1조2천324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4천801억원, 고용 유발 효과는 총 7천928명에 이른다.
다만, 이번 분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해외 이동이 제한되고 현장 콘서트가 이뤄지지 못하는 현실을 고려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따른 효과를 제외했으며, 직접 매출 규모도 투어 공연 대신 비대면 콘서트로 추정했다.
문광연은 앞으로 이런 부분을 포함하고 국가 이미지와 국가 브랜드 등의 상향에 따른 상승효과도 고려하면 경제적 파급 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체부 박양우 장관은 "방탄소년단의 음악은 코로나19로 고통받는 전 세계인들에게 일종의 치유제가 됐고 다시 한번 대한민국의 문화적 자긍심이 됐다"라고 밝혔다.

-
방탄소년단(BTS) 빌보드 1위, 경제적 파급효과 1조7천억원
문체부·문광연 분석..."고용 유발 효과 7천928명"
- 비대면 사회 속 우리 문화 가치 알리는 '문화는 위로입니다' 방탄, 봉준호 감독, 안숙선 등
- 방탄소년단 RM, 트위터에 근황 공개... 훈훈한 일상
- 빌보드가 선정한 '2020 인디 파워 플레이어스', 빅히트 방시혁·JYP 정욱
- tvN '청춘기록' 박보검·박소담·변우석 나이→인물관계도 설정 어떨까
- 문체부, 예술경영 우수사례 기업·단체 시상한다
- 방탄소년단이 소개하는 서울의 매력, 서울시 홍보영상 11일 공개
- 넷마블, 방탄소년단 게임 9월 24일 정식 글로벌 출시 예정
- BTS 지민, 탄생 9100일 맞아 ‘최애돌’ 기부요정 등극
- 방탄소년단, RM 생일 축하 음성 메세지 챌린지...멤버들과 전 세계 팬들의 참여 이어져
- 하나의 '장르'가 된 방탄소년단, 온라인 콘서트 개최 ... 관전 포인트 총정리
- 구글 선정 2020 올해의 검색어, 국내 드라마 부문 1위는 '이태원 클라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