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나사의 화성탐사차 '퍼서비어런스(Perserverence)'
'공포의 7분'과 '예제로(Jezero) 분화구'

화성탐사선 퍼서비어런스의 비행 경로

[ 문화뉴스 최윤정 기자] 국립과천과학관이 화성탐사선 착륙기념 과학토크 온라인 방송 '돌아온 Why? 화성'을 2월 19일 오후 8시에 진행한다.

'돌아온 Why? 화성'은 2020년 7월 지구를 출발하여 약 7개월의 긴 여정 끝에 화성에 도착한 아랍에미리트 '아말', 중국의 화성탐사선 '텐원 1호'의 소식과 함께, 19일 새벽(한국 시간)에 착륙을 시도하는 미국 나사의 화성탐사차 '퍼서비어런스(Perserverence)'의 임무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돕는 과학토크 프로그램이다.

'돌아온 Why? 화성' 포스터

이번 방송은 국립과천과학관 로켓·천문 분야 전문가들이 진행하고, 지난해 7월 발사기념 온라인 방송에 참여했던 나사(NASA) 태양계 홍보대사 폴 윤(Paul Yun) 엘카미노 대학 교수와 한국천문연구원 심채경 박사가 미니강연과 토크로 함께 한다. 폴 윤 교수는 나사의 화성탐사로버 공식 이름 '퍼서비런스(Perseverance)' 선정 심사위원이고, 심채경 박사는 2019년 네이처지가 선정한 향후 반세기 달 연구를 이끌어갈 젊은 과학자 5인 중 1인이다.

이번 방송은 코로나19로 대외 활동이 제한적인 청소년들이, 우주 탐사와 같이 더 큰 탐구심과 꿈을 키우기를 바라며 준비되었다. 이번 방송에서는 퍼서비어런스가 겪을 '공포의 7분'과 탐사 착륙지인 '예제로 분화구' 등을 조명할 예정이다.

퍼서비어런스의 착륙과정(진입, 하강, 착륙)

나사가 화성으로 쏘아 올린 다섯 번째 탐사차 퍼서비어런스는 총알 속도의 20배가 넘는 속도로 4억 8천만 km를 날아가 화성 궤도에 진입하고 바로 이어 지구 대기의 1% 정도로 희박한 화성 대기 속으로 진입, 하강, 착륙의 과정을 미리 프로그램 된 대로 수행해야한다. 이 과정을 '공포의 7분'이라고 부른다.

예제로 분화구

이번 탐사의 착륙지인 예제로(Jezero) 분화구는 과거 생물 존재 가능성이 매우 높은 퇴적지형 삼각주로 추정되는 곳이다. 이곳에서 퍼서비어런스가 수행하게 될 고대 생명체의 흔적을 찾고 이를 위해 토양과 암석 샘플을 채취하여 보관하는 임무와 그 이후의 탐사계획들에 대해서도 전문가의 설명을 들어볼 것이다.

온라인 방송이지만 토크 사이사이에 퀴즈 이벤트를 진행하여 시청자들이 실시간 댓글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방송을 보고 집에서 체험해 볼 수 있는 '화성 탐사선 정확하게 착륙시키기' 실험 영상코너도 준비되어 있다.

국립과천과학관 이정모 관장은 "미국과 한국의 기술 지원으로 자체 인공위성 개발에 성공한 아랍에미리트가 세계 다섯 번째로 화성 궤도에 진입한 나라가 되는 시점에 우리나라는 22년 달 궤도선, 30년 달 착륙선을 보낼 계획이 세워져 있다. 그 다음 단계가 될 화성 탐사에 우리 청소년들이 관심을 갖고, 호기심을 키워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돌아온 Why? 화성'은 2월 19일 오후 8시부터 약 70분간 국립과천과학관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