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종료아동. 취약계층 인정기간 만34세까지 연장
경기도, 올해 보호종료아동 자립지원 정착금 증액 등 종합지원대책 추진

[문화뉴스 신하은 기자] 가정위탁시설 등에서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가 넘으면 독립해야하는 ‘보호종료아동’에 대한 취업 취약계층 인정기간이 현행 5년에서 시설퇴소 후 만 34세 이하까지 연장됐다.

이는 경기도가 지난해 12월 29일, 고용노동부에 보호종료아동의 취약계층 인정기간을 연장해줄 것을 정식으로 건의한 사항이 반영된 것이다. 

개정안이 고시됨에 따라 사회적기업 육성법 상 취약계층의 하나인 ‘보호종료아동’의 인정범위가 종전 ‘보호종료 후 5년 이내’에서 청년기본법 상 나이인 34세까지로 확대 적용된다.

그동안 시설보호 아동은 만18세가 되면 아동보호시설에서 퇴소해야 했다. 종전 규정대로라면 이로부터 5년 동안만 사회적기업법 상 취약계층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병역의무, 학업 등 청년의 사회진출이 늦어지는 점, 자립기반 마련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보호종료아동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이 같은 규정은 실효성이 낮다는 것이 당사자들의 지적이었다.

사진=브라더스키퍼 방문한 이재명경기도지사/경기도 제공
사진=브라더스키퍼 방문한 이재명경기도지사/경기도 제공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설 명절을 앞둔 지난 2월 8일 경기도 안양에 위치한 보호종료아동 창업 사회적 기업인 브라더스키퍼를 깜짝 방문해 애로점을 청취하는 등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지원에 관심을 보인바 있었다. 

실제로 도는 국내 최초로 ‘보호종료아동’의 사회적응과 자립을 돕기 위해 자립지원 정착금을 기존 500만원에서 1천만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보호종료아동 종합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올해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한편, 종합지원 정책은 퇴소 및 보호종료아동 자립지원정착금 증액, 자립지원정착금 지급 시 의무교육 지원, 보호종료아동 진로교육 및 취업연계 지원, 보호종료아동 생활지원 등 총 네 가지다.

사회적기업 인증 기준 개정 소식을 접한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사회가 보호종료아동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보듬으며 살아가는 길에 한 걸음 뗀 것에 의미가 있다. 앞으로도 보호종료아동에게 더 넉넉한 품을 내줄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자”고 환영의 뜻을 전했다.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