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릉부릉캠프, 차박캠퍼 대상 쓰레기 처리 설문 결과 공개
47.5% “쓰레기 되가져가”… ‘캠퍼 자체 노력-지자체 개입이 해법’
[문화뉴스 백현우 기자] 차박캠핑을 즐기는 캠퍼의 과반이 노지 캠핑장의 쓰레기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캠프파이브가 제작, 운영하는 차박커뮤니티 ‘부릉부릉캠프’는 5월 14일부터 6월 19일까지 약 한 달간 주요 노지 캠핑장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에 따르면, 차박캠퍼들은 노지 차박의 쓰레기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

심각성의 단계에 따라 오지선다형으로 표기하도록 한 질문에 30.4%인 60명은 ‘매우 심각하다’, 31.4%인 64명은 ‘심각하다’고 답했다. 차박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묻는 물음에는 56.4%가 쓰레기를 마구 버리는 행태를 가장 먼저 떠올렸다.
이와 관련해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발적인 노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실제 자기의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47.5%는 캠핑 중 발생하는 쓰레기를 봉투에 넣어 다시 가지고 온다고, 29.4%는 현지의 종량제 봉투를 구매해 분리 수거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이는 쓰레기 처리 책임을 현지에 전가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또 소수이긴 하지만 쓰레기를 아예 만들지 않는다는 대답도 10.3%를 차지했다.
이번 설문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는 캠퍼 본인이 스스로 얼마나 완벽하게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항과 다른 캠퍼의 쓰레기 처리 수준을 평가하는 문항이다.
응답자 대다수인 78.4%는 ‘나는 100% 완벽하게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다른 차박 캠퍼를 평가할 때는 다소 박한 평을 내렸다. ‘100% 완벽하게 처리한다’는 응답은 15.7%에 불과했고, 28.9%가 ‘80% 수준으로 처리한다’, 20.6%가 ‘70% 수준이다’라고 답했다.
처리 수준이 ‘50%도 안 된다’는 시각도 12.3%나 나왔다. 이는 노지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노지 차박 쓰레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차박캠퍼의 자발적인 노력’을 해법으로 든 이가 84.8%에 달했다. 다중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 이 문항에서 ‘지자체의 요금 징수와 시설개선, 지속적 관리’를 선택한 이도 44.6%였다. 캠퍼들은 노지 차박캠핑에서 쓰레기 문제의 해법으로 차박캠퍼의 노력과 지자체의 관리를 선택한 것이다.
이외에도 ‘쓰레기통의 추가 설치(24%)’, ‘CCTV와 벌금 부과(23.5%)’ 등도 많은 선택을 받았다. ‘노지에 쓰레기를 무단 투기할 경우 벌금을 매긴다면 얼마가 적당한가’라는 항목의 답변은 2만원 미만부터 10만원 이상까지 고른 분포를 보였다.
그중 5~10만원 미만과 10만원 이상이 동일하게 22.5%의 응답율을 보여 비교적 고액의 벌금을 부과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차지했다.
좋은 차박지를 개발, 유지하고 차박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견은 과반인 61.8%로 나왔다.
지자체의 차박지 관리 방안으로는 ‘쓰레기 분리수거장, 샤워장, 개수대 등의 편의시설 추가’가 28.9%, ‘쓰레기 투기 단속’이 25.5%, ‘입장료 징수 및 환경관리’가 18.1%의 중요도를 보여줬다. 전체 응답자의 64.7%는 지자체가 차박지의 입장료를 받아도 수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입장료의 수준은 38.2%가 1만원, 32.4%가 5000원을 적당하다고 봤다.
차박 경력에 대한 문항을 살펴보면 차박을 시작한 지 6개월 미만인 캠퍼가 전체의 28.9%로 가장 많았다. 6개월 이상 1년 미만은 11.3%, 1년 이상 2년 미만은 24%다. 이를 모두 합치면 2년 미만의 차박캠퍼는 무려 64.2%에 달한다. 차박을 3년 이상 꾸준히 하고 있는 캠퍼는 전체의 26.5%였다.
차박캠퍼의 44.6%는 오토캠핑을 하다가 차박으로 넘어왔으며 전체 응답자의 40.7%가 차박 경험이 10회 미만의 초보캠퍼였다. 10~20회의 경력을 가진 캠퍼는 21.6%, 21~50회 정도 차박을 했던 캠퍼는 18.6%였다.
응답자 54.4%는 10군데 미만의 차박지를 다녔으며 10~20곳 정도를 다닌 캠퍼는 21.1%였다. 이번이 첫 노지 차박이라는 응답도 7.8%를 차지했다.
이번 결과를 종합한 캠프파이브는 "차박캠핑은 약 2년 전부터 트렌드로 자리 잡기 시작했으며, 차박지를 찾아온 과반이 초보캠퍼에 가까운 게 현실"이라며, "현재 차박캠핑은 새로운 캠핑문화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