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확보 현황, 접종 시기, 비용, 접종 부작용

[문화뉴스 박혜빈 기자] 정부가 어제(8일) 4400만 명 분의 코로나19 예방 백신을 확보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4400만 명 분량은 국내 인구 5100만여 명의 86% 수준으로, 모든 사람이 맞을 수는 없지만 집단면역을 형성하기에 충분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아직 완벽한 백신이 완성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4개 제약사로 분산해서 구매 계약을 맺었고 내년 초부터 들여 오기로 했다.
한편, 영국에서는 세계 최초로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첫 번째 접종의 주인공은 아흔한 번째 생일을 앞둔 여성 노인이다. 영국에서는 80대 이상 노인들과 의료 종사자, 그리고 요양원 직원들이 우선 접종 대상이다.
영국처럼 백신 접종을 시작한 나라도 있고, 미국은 이르면 이번 주말부터 접종이 시작될 전망이다. 과연 우리나라는 늦은 건지, 신중한 건지 오늘은 현재까지 알려진 국내 백신 확보 현황 및 백신 관련 궁금증을 파헤쳐 본다.
백신 확보 현황
정부는 다국가백신공급협의체, '코박스'에 가입해 1000만 명 분을 확보했고, 국내서도 생산이 가능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00만 명 분은 선구매 계약을 완전히 마쳤다. 미국과 유럽에서 긴급 승인을 검토 중인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역시 1000만 명분의 계약을 마쳤다.
위 4개 제약사의 백신은 내년 초인 2~3월부터 국내로 들어 오고 연말까지 공급이 완료된다. 한편, 정부는 임상 3상 시험에 들어 있는 다른 제약사들의 모든 백신에 대해서도 도입 가능성을 열어뒀다. 아직 어떤 백신이 효과가 있다고 단정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얀센' 백신의 경우 400만 명분에 대해선 구속력 있는 구매 약관을 체결한 뒤 남은 절차를 진행 중이다.
백신 접종 순서, 비용
우선 접종 대상은?
국내 우선 접종대상은 코로나19 취약계층과 코로나 대응 인력이 될 정망이다. 어린이와 청소년이 우선 접종 대상에서 제외된 이유는 아직 백신 임상시험 결과가 나오지 않아,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노인과 만성질환자, 의료기관 종사자와 방역요원, 경찰, 소방공무원, 요양복지시설종사자, 군인 등이 먼저 백신을 맞은 다음 일반 국민들이 접종을 하게 된다.
접종 비용은 의료진이나 방역요원 등 국가 필수인력은 무료이지만 일반 국민들의 경우 일부 비용을 내고 접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4500원, 화이자 백신은 2만 2000원으로 백신마다 가격 차이가 커서 정부가 백신값을 완전히 무료로 지원하는 기준을 잡기가 힘들고 특정 백신으로 선호도가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백신 실제 접종 시기
우선 접종 대상자가 정해지더라도 실제 접종은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됐다고 판단한 다음에야 시작될 전망이다. 정부가 확보한 백신이 안전하다고 하면서도 곧바로 접종을 하지 않는 이유는 접종을 시작한 다른 나라의 상황을 지켜보고 판단하기 위함이다. 정부는 심각한 부작용이 없고 효과가 나타나는 걸 확인한 뒤 접종을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만약 미국이나 영국처럼 환자가 걷잡을 수없이 늘어난 긴급 상황이 된다면 접종 시기가 원래 계획보다 앞당겨질 수 도 있다. 정부는 백신 도입과 접종을 위해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백신 부작용 등급
백신의 부작용 등급은 크게 네 가지 단계로 구분한다. 1단계는 일시적인 불편함 같은 경미한 수준, 2단계는 약간의 발열 같은 중등 단계, 3단계는 심각 단계, 4단계의 경우 사망을 의미한다.
국내 도입이 예정된 4개 제약사의 백신은 부작용 수준이 1에서 2 정도에 불과해 맞아도 된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특히, 최근에 논란이 됐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위험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
백신 확보 현황, 접종 시기, 비용, 접종 부작용
[코로나 백신 A to Z] 백신 과연 안전한가? 백신 현황, 우선 접종 대상, 부작용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