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그램·카카오톡 검색때 파워링크서 악성코드 담긴 앱 한때 노출
최민희 위원장 “플랫폼 기본적인 보안 책임 방기한 것과 다름없어”

텔레그램 악성코드 앱./연합뉴스
텔레그램 악성코드 앱./연합뉴스

(문화뉴스 김영욱 기자) 네이버에서 텔레그램을 검색한 후 파워링크로 접속한 사이트를 통해 다운받은 앱이 악성코드를 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주의가 요구된다.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이달 중순 네이버 검색에서 텔레그램을 검색하면 악성코드가 담긴 앱을 다운받을 수 있는 파워링크가 나왔다.

같은 기간 카카오톡, 네이트온을 검색했을 때도 악성코드가 포함된 앱을 다운받을 수 있는 파워링크가 유포됐다는 게 최 의원실의 설명이다.

네이버의 인증을 받고 광고하는 시스템인 파워링크는 이용자들의 신뢰감을 얻고 있는 만큼, 악성코드 감염 우려가 보다 큰 상황이다.

네이버에 따르면 통상 파워링크는 광고주센터에서 여러 사업자가 파워링크에 입찰한 뒤 경매하는 방식 등으로 낙찰받는다. 낙찰 당시에는 정상적인 링크였지만 낙찰 이후 실제 파워링크가 운영되면서 악성코드가 포함된 앱을 유포하는 사이트로 변질됐다고 네이버는 밝혔다.

이달 중순 악성코드가 포함된 파워링크가 검색창에 공유된 기간은 일주일 이내로, 현재는 텔레그램을 검색해도 악성코드가 포함된 파워링크에 접속할 수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네이버는 유사한 사례가 나타나지 않도록 모니터링 체계를 정비하겠다는 입장이다.

최 위원장은 "네이버 파워링크가 피싱과 악성코드 유포에 이용된 것은 플랫폼의 기본적인 보안 책임을 방기한 것과 다름없다"라며 "네이버는 파워링크 업체 선정 이후에도 사후 관리를 통해 변조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연합뉴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연합뉴스

문화뉴스 / 김영욱 기자 brod77@naver.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