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빅테이터 분석 결과 공개
치킨집 가장 많은 곳은 부천시…인구 대비 업체수 많은 곳은 여수시

[문화뉴스 김종민 기자] 2000년 초반 폭증했던 치킨집이 이제는 페업하는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발표됐다.
국토연구원은 30일 국토이슈리포트 제29호 '치킨집 개-폐업으로 보는 지역별 특성 변화'를 통해 지난 20년간 전국의 치킨집 개폐업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원은 지난 20년간의 치킨집 개폐업 데이터를 토대로, 2000년 초반 이후 급증한 치킨집이 2010년대 중반 개폐업 수가 비슷해지더니 현재는 폐업이 개업보다 많은 쇠퇴 단계에 있다는 분석 결과를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은 치킨집의 수가 급증하는 팽창단계, 200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중반까지는 개폐업의 수가 비슷한 정체단계, 2010년대 후반부터는 폐업의 수가 개업을 역전하는 쇠퇴단계로 분류된다.
통계에서는 2000년대 초반에 치킨집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이후 매년 1만여개 이상의 치킨집이 개업했지만 폐업 건수가 2000년대 초반부터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2005년부터 폐업 건수와 개업 건수가 비슷한 정체단계로 진입했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치킨집 업체 수는 9.8% 증가해 증가세가 확연히 둔화됐으며,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폐업 건수가 개업 건수를 앞지르며 총 영업 업체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4년을 기점으로 개업 건수가 급격히 감소해 2017년에 5천960건을 기록하며 최저치에 도달했고, 2014년에서부터 작년까지 치킨집 업체 수의 증가율은 -9.2%를 기록해 도리어 치킨집 수가 감소했다.
연구원은 "치킨집 변화 추세를 보면 2009~2014년의 치킨집 증가세는 실업자 수 증가와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라고 설명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2013년 여러 대기업의 부도 사태 등 고용 위기가 치킨집 개업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치킨집 포화 상태 여부는 지역적인 특성을 크게 반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 지역은 개폐업 건수가 큰 변동을 보이며 시기별 유형이 급변하는 경향을 나타낸 가운데, 2000년대 초반에 포화 유형을 보이던 지역 중에서는 폐업의 비중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신도시는 지역의 개발로 치킨집 상권도 함께 성장하지만, 같은 도시 지역에서도 지방 중소도시와 구도심 지역은 치킨집 상권이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에 농촌 지역은 개폐업 건수의 큰 변화 없이도 2010년대 후반에 수요와 공급이 안정적인 추세로 돌입했는데, 이는 2000년대 초반에는 공급이 부족했다가 지역의 인구감소로 업체 한 개당 인구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치킨집의 개폐업 수치는 지역적 편차가 커 "치킨집의 지역적 생멸에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작년 기준으로 치킨집이 가장 많은 지역은 부천시로 1천648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 대비 업체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라남도 여수시로 업체 1개당 인구수는 275명이다.
연구원은 지역특성과 지역적 편차를 고려해 이에 맞는 지역상권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너무 많았던 치킨집, 이제는 개업보다 폐업이 더 많아
국토연구원 빅테이터 분석 결과 공개
치킨집 가장 많은 곳은 부천시…인구 대비 업체수 많은 곳은 여수시
- 벤처기업 종사자 80만명 이상... 삼성 등 4대 대기업보다 13만6천명 많아
- 정부, 3차 재난지원금 대책 발표…지원 대상은?
- 프랜차이즈 통달배, 소자본창업 배달전문점으로 가맹문의 증가
- 공정위, "배민 인수하려면 요기요 매각해야" 기업 결합 조건부 승인
- 구직자 1인당 최대 450만원...구직촉진수당 신청 방법-자격 조건은?
-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골목상권 활성화 캠페인 성공적으로 끝나
- 12월 31일부터 주식 거래 못한다…내년 1월 4일에 개장
- '1포인트=1원' 모든 카드 포인트 한번에 출금하는 서비스 출시
- 치킨, 해외에서 가장 선호하는 한식...김치-비빔밥 제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