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광일 광양상의 회장 기고문 통해 "12분기 연속 경기 침체, 더는 지체할 시간 없다" 강력 촉구… "철강산업 위기는 곧 국가 제조업의 위기"

                 우광일 광양상공회의소 회장
                 우광일 광양상공회의소 회장

(문화뉴스 이동구 기자) 광양상공회의소(회장 우광일)가 11월 기고문을 통해, 지역 철강산업과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한 두 가지 핵심 사안의 조속한 처리를 엄중히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우광일 회장은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역사이자 미래"인 광양시가 글로벌 공급과잉, 친환경 정책, 산업 패러다임 대전환 등의 복합적 요인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고 진단했습니다.

광양상의가 절박하게 호소하는 두 가지 핵심 요구는 국회에 상정된 'K-스틸법'의 연내 통과와 '광양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의 신속한 지정입니다. 이는 3년 연속 이어진 경기 침체의 냉엄한 현실 속에서 지역경제를 회생시킬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위기감의 발로로 풀이됩니다.

K-스틸법: 철강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 법안

기고문은 현재 국회에 상정된 'K-스틸법'을 "대한민국 철강산업과 광양시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법안"이라고 규정했습니다.

이 법안에는 단순히 위기를 봉합하는 것을 넘어, 철강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 친환경 전환 촉진, R&D(연구개발) 지원, 산업 생태계 회복 등 실효성 높은 지원 내용이 구체적으로 담겨있습니다.

광양상의가 '즉각적인 통과'를 강조하는 이유는 시간적 시급성 때문입니다. 해당 법안이 올해(2025년) 국회 문턱을 넘어야만 당장 내년(2026년)부터 시행이 가능해, 위기에 처한 산업 현장에 즉각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국회의 신속한 논의와 결단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이유입니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역경제 붕괴 막을 '안전망'

'K-스틸법'이 산업의 미래 체질 개선을 위한 것이라면,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은 당면한 지역경제 붕괴를 막기 위한 가장 시급한 '안전망'입니다.

현재 전라남도와 광양시가 공동으로 정부에 지정을 추진 중인 이 제도는, 정부의 정책적·재정적 보호 아래 위기 기업과 지역경제를 실질적으로 구해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꼽힙니다.

지정이 이루어질 경우, 심각한 경영난을 겪는 위기 기업은 물론, 지역 소상공인, 그리고 지역경제 전반에 걸쳐 막대한 파급효과가 기대됩니다. 이는 철강산업의 위기가 특정 대기업의 문제를 넘어, 수많은 협력사와 자영업자의 생존 문제로 직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12분기 연속 기준 미달"… 위기는 이미 장기화

광양상의의 이러한 호소가 단순한 엄살이 아니라는 것은 객관적인 수치로도 증명됩니다.

기고문에서 인용한 광양상의의 '경기전망조사(BSI)' 결과는 무려 12분기(만 3년) 연속 기준치에 미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역 경제의 위기가 일시적 현상이 아닌, 이미 '장기화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냉엄한 현실입니다.

우광일 회장은 "철강산업의 위기는 더 이상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이는 곧 국가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광양상의의 호소는, 광양이라는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 철강산업과 국가 경제의 미래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을 국회와 정부가 조속히 내려달라는 강력한 메시지로 요약됩니다.

문화뉴스 / 이동구 기자 pcs81914@naver.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