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회담 조율 중
4월 한미동맹 70주년 맞아 윤 대통령 방미 예정
5월 G7 정상회의서 한미일 한자리에 모일 가능성

[문화뉴스 장성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이달 중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회담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대통령실은 7일 밝혔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도 윤 대통령이 16∼17일 일본을 방문할 가능성을 보도했다. 당초 대통령실 안팎에서 거론되던 방일 시점인 이달 하순보다 일주일가량 앞당겨진 일정이다.
대통령실은 "정상회담 논의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한일 정상이 정례적으로 상대국을 오가는 '셔틀 외교'가 12년 만에 재개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윤 대통령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 배상 해법을 발표한 계기로 상반기에 양국 정상 회담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윤 대통령은 한일관계 개선을 발판 삼아 잇단 회담을 통해 취임 초부터 강조한 한미일 삼각공조 체제의 내실을 다지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 하순에는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윤 대통령의 방미가 예정돼 있다.
김성한 국가안보실장은 윤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 시기, 형식, 의제 등에 대한 논의를 매듭짓기 위해 지난 5일부터 워싱턴을 방문 중이다.
한미일 3국 정상은 오는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도 한자리에 모일 가능성이 크다. G7 회원국이 아닌 한국은 참관국 자격으로 참석할 수 있다.
기시다 총리의 지역구이기도 한 히로시마를 배경으로 한미일이 3각 협력을 부각하는 모종의 결과물을 내놓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미 정부는 그동안 중국 견제를 위해서는 한미일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아래 한일관계 개선을 일관되게 주문해 왔다.
윤 대통령도 지난 대선 과정에서부터 한미일 삼각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주파수를 맞춰왔다.
한미일 정상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해 6월 스페인 마드리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4년 9개월 만에 회담한 데 이어, 5개월 뒤 '프놈펜 성명'을 통해 글로벌 현안까지 망라한 3국 공조 강화를 천명한 바 있다.
한국 정부의 해법 발표로 한일 간 징용 및 수출규제 갈등도 일단 일단락됐다는 평가 속에 한미일 3국은 앞으로 실질적인 삼각 공조를 구체화하고 이행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