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인터뷰 발언, 핵 생산 동결 ‘임시적 비상조치’·‘현실적 대안’ 언급
북미 정상 재회 가능성 시사, 유엔·한미일 공조 관련 입장 표명

(문화뉴스 김지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유엔 총회 참석을 앞두고 BBC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하는 대신 당분간 핵무기 생산을 중단하는 내용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합의할 경우 이를 수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북한이 매년 15~20기의 핵무기를 추가로 생산하고 있다며, 핵 생산 동결을 "임시적인 비상조치"이자 "실현 가능하고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비핵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포기하지 않는 한,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중단하는 것만으로도 분명한 이익이 있다”고 말했다. 북미 정상 재회 가능성과 관련해 양국 정상이 어느 정도 상호 신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관련 질문에는 즉답을 피하면서도 “유엔이 여전히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했다. 안보리 개혁은 “그다지 현실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중국의 대북 입장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면서도 그렇게 이해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러시아·북한의 관계 강화가 한국을 “매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이 미국·일본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세계는 두 진영으로 갈라지고 있으며, 한국은 경계선에 위치해 있다”며 “양 진영 모두 서로에 문을 완전히 닫을 수는 없기에 우리는 그 중간 어딘가에 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규탄받아야 하며, 전쟁은 가능한 한 빨리 종식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도, 국가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이 대통령은 2주 전 미국 조지아주에서 자동차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던 한국인 노동자 수백 명이 구금됐다가 일주일 만에 석방된 사건을 언급하며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으로서 우리 국민이 겪은 가혹한 처우에 대해 깊은 책임감을 느낀다”며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 사건을 계기로 한미 관계가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면서, “‘비 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한국 속담이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취임 후 한국 정부의 대북 라디오 방송 송출을 중단시켰다. 그는 이 결정 이유를 묻는 질문에 “방송들이 실질적인 효과가 거의 없다고 판단했다”며 “남북 간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문화뉴스 / 김지수 기자 press@mh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