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과 한반도 평화·SDGs 논의
우즈벡·체코 정상과 경제·에너지 협력 강화

(문화뉴스 김지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제80차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대한민국의 국제사회 복귀를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지난 23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안토니우 구테레쉬 유엔 사무총장과 회동하고, 한반도 평화 증진을 위한 정부의 구상을 설명하는 한편 유엔의 지지를 요청했다.
구테레쉬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을 “합리적인 접근”으로 평가하며, 유엔도 협력을 강화할 의지를 드러냈다.
구테레쉬 사무총장은 국제사회가 분열된 현재 한국이 유엔에서 균형 잡힌 시각으로 주요 현안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으며, 인도적 지원, SDGs 달성, 인권, 그리고 가자 및 우크라이나 등 국제 이슈에서 신뢰받는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유엔이 글로벌 분쟁과 대립이 심화되는 현 시점에서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앞으로 한국이 국제사회의 다양한 도전 과제에 대응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또 한국 인재의 국제기구 진출 확대와 유엔 개혁 문제 등 다양한 현안을 논의했다.

이후 이재명 대통령은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취임 후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양국은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심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특히 경제협력과 공급망 협력 강화에 뜻을 모았다. 철도, 공항, 도로 등 인프라 개발과 핵심 광물 자원을 중심으로 양국 간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 내 교민 사회의 중요성도 언급하며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고, 양국 정상은 내년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실무적 조율과 지속적 소통 의지를 확인했다.

같은 날 체코의 페트르 파벨 대통령과의 회담에서는 올해 한-체코 수교 35주년 및 전략적 동반자 관계 10주년을 맞아 양국 협력의 의미가 더욱 커졌다고 평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원전 분야뿐 아니라 반도체, 전기차, 방산 산업 등으로 협력 확대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에 대해 파벨 대통령은 “한국 기업의 우수성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히며,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사업에 대한 한국 기업의 신뢰성을 예시로 들었다. 또한 민주주의 가치와 경험을 공유하는 국가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방한 의사도 내비쳤다. 이재명 대통령은 환영의 뜻을 전하며 양국 간 교류와 협력의 지속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연합뉴스
문화뉴스 / 김지수 기자 press@mh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