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인공지능 영상분석 기술로 '교차로 꼬리물기' 자동 단속
내년 10곳 추가 설치…2027년 전국 확대 계획 밝혀

(문화뉴스 이혜주 기자) 경찰청이 오는 12월부터 서울 강남구 국기원사거리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교차로 꼬리물기 무인단속장비를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이번 시범 단속은 내년 2월 말까지 이어지며 계도 위주로 진행된다. 새로 도입된 장비는 AI 영상분석 기술이 적용돼 꼬리물기 위반행위를 자동으로 적발하고 기존 신호위반·속도위반 단속 기능도 통합했다. 이를 통해 장비의 효율성과 유지관리가 대폭 강화됐다는 설명이다.
단속 대상은 정차금지지대가 지정된 교차로에서, 심지어 녹색 신호에 진입했더라도 신호등이 빨간불로 바뀐 후 일정 시간 안에 해당 구역을 벗어나지 못하는 차량이다. 단, 교통사고 등 긴급상황에 따른 불가피한 정차는 계도 대상에서 예외로 둔다.
경찰청은 추가로, 기존 신호 및 과속 무인단속장비에도 꼬리물기 단속 기능을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2026년에는 상습 정체 교차로 10곳으로 신규 장비 설치가 확대되며, 2027년부터는 전국으로 본격 보급될 전망이다. 현재 전국 883곳의 핵심 교차로에서 꼬리물기 발생이 빈번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청은 길막기, 끼어들기, 새치기, 버스전용차로 위반 등 5대 반칙운전에 대한 단속을 지속해왔으며, 이번 AI 단속장비 도입으로 교차로 정체 해소와 사고 예방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뉴스 / 이혜주 기자 press@mh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