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식품 제조기업 15곳 대상…오뚜기 실무 중심 아카데미 3회째 성료
환경 모니터링부터 최신 유전자 분석까지…미생물 관리 능력 한층 업그레이드

‘식품안전 상생’ 현장 변화 이끈다…오뚜기, 맞춤형 교육으로 협력사 기술 역량 강화. 오뚜기 제공
‘식품안전 상생’ 현장 변화 이끈다…오뚜기, 맞춤형 교육으로 협력사 기술 역량 강화. 오뚜기 제공

(문화뉴스 정성훈 기자) 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가 11일 경기 안양시 연구소에서 중소 식품 협력사를 대상으로 식품안전 상생아카데미를 진행했다고 12일 밝혔다.

올해로 3회를 맞은 본 프로그램은 오뚜기 제품의 생산 현장에 안전문화를 뿌리내리고, 중소 식품 제조사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안전관리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이번에는 15개 업체에서 미생물 검사 담당자 28명이 함께했다.

교육 과정에는 최신 식품안전 현안과 대응 전략, 유전자 분석법의 기초 이론과 분석 동향, 실험실 안전관리 사례,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샘플링 기법, 각 참여업체의 요청을 반영한 미생물 맞춤 교육 등 현장 활용도가 높은 주제가 포함됐다.

‘식품안전 상생’ 현장 변화 이끈다…오뚜기, 맞춤형 교육으로 협력사 기술 역량 강화. 오뚜기 제공
‘식품안전 상생’ 현장 변화 이끈다…오뚜기, 맞춤형 교육으로 협력사 기술 역량 강화. 오뚜기 제공
‘식품안전 상생’ 현장 변화 이끈다…오뚜기, 맞춤형 교육으로 협력사 기술 역량 강화. 오뚜기 제공
‘식품안전 상생’ 현장 변화 이끈다…오뚜기, 맞춤형 교육으로 협력사 기술 역량 강화. 오뚜기 제공

특히 유전자 분석법 파트에서는 분자생물학적 기법의 현장 적용 원리와 PCR, 16S rRNA 유전자 분석 등 빠른 미생물 진단법이 심층적으로 다뤄졌다. 이 과정을 통해 미생물 관리 체계의 효율을 높이고 기존 점검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최신 기술 동향도 소개됐다.

또한 환경 샘플링 및 모니터링 교육에서는 식품 제조 현장에서 환경관리의 중요성과 실제 적용 방안이 강조됐다. 참가자들은 생산 현장 내 타깃 설정, 검출 지점 선정, 살균제 영향 평가, 바이오필름 관리, 대체 검출법 등 실무에 필요한 과정을 직접 실습했다. 생생한 현장 실습을 통해 데이터 해석 능력과 개선 방안 도출 역량도 체득했다.

오뚜기 식품안전과학연구소 측은 협력사와의 상생이 회사의 지속가능경영에 매우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하면서, "앞으로도 중소 협력사들이 품질·안전 관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갖출 수 있도록 다각적인 교육과 지원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뚜기는 앞으로도 현장 중심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국내 식품안전 수준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식품안전 상생’ 현장 변화 이끈다…오뚜기, 맞춤형 교육으로 협력사 기술 역량 강화. 오뚜기 제공
‘식품안전 상생’ 현장 변화 이끈다…오뚜기, 맞춤형 교육으로 협력사 기술 역량 강화. 오뚜기 제공

문화뉴스 / 정성훈 기자 until03@naver.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